"국립예술단의 콘텐츠를 지역과 향유할 수 있도록 하라."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대구문화재단은 15일 지역문화계 의견수렴을 위한 '지역문화예술의 현안과 과제, 새 정부에 바란다'를 라운드 테이블 형식으로 진행했다. 문무학 대구예총 회장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토론회에는 박두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진흥본부장 및 민준홍 영남지역협력관이 참석해 지역 문화예술의 현안에 관해 들었다.
이날 토론자들은 국립예술단 또는 국립문화기관이 지방에 문호를 더 개방해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김선희 대구미술관장은 "국립미술관의 경우 미술품 구입 예산이 훨씬 많은데도 불구하고 주로 수도권 작가들의 작품에 관심이 있고, 지역에는 거의 내려오지도 않는다"면서 "소장품이 부족한 신생 미술관들이 작품을 빌리는 것도 너무나 힘든 실정"이라고 말했다.
김완준 계명아트센터 관장은 국립오페라단이 지역 순회공연을 통해 지역민들의 문화 향수권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구국제오페라축제가 열리는 무대에 국립오페라단이 정기적으로 공연만 해도 열악한 오페라축제 예산이 많이 절감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국립'오페라단으로서도 서울에 국한되지 않고 국민들을 위한 오페라단이 될 수 있다는 것.
이유리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 집행위원장과 오동욱 대구경북연구원 사회문화팀장은 지역거점문화도시로 공연예술을 강화하고 특히 신한류의 핵심이 될 뮤지컬 생산기지로서 대구의 위상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유리 집행위원장은 "한류의 차세대 주자로 뮤지컬이 주목받고 있는 만큼 대구에 공연예술진흥센터 형식의 시설로 생산기지의 테스트마켓 역량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동욱 팀장은 "미래지향적이고 일상 속 공감을 많이 얻을 수 있는 대구의 공연예술이야말로 새 정부가 말하는 창조경제와도 닿아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최현묵 수성아트피아 관장은 지역 문화를 관장하는 정책 부서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최 관장은 "이제 문화정책의 효율화가 필요한 시점"이라면서 정부 부서마다 쏟아내는 문화 정책을 정리하기만 해도 과잉된 문화 정책이 수도권에서 지역으로 흘러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대권 대구시 문화체육관광국장은 "지역의 독자적인 문화생태계를 키울 수 있도록 국립의 콘텐츠를 공유하고 지역에서 아시아권으로 곧바로 진출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박두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진흥본부장은 "박근혜 대통령이 2017년까지 문화재정 2%를 달성하겠다고 공약한 만큼 재원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특히 문화제도 전반을 손질하고 있다. 지역의 목소리를 수렴해 늦어도 6월 초에는 새 정부의 문화정책을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