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무성 당권 주자 급부상…최경환 원내대표 경선에 힘?

'빅3 국회 입성' 여·야권 정치구도 급변 신호탄 되나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처음 치러진 4'24 재'보궐선거에서 안철수 무소속 후보와 김무성'이완구 새누리당 후보 등 '빅3'의 여의도 입성이 무난하게 성사됐다.

이들의 원내 진입 성공에 따라 여야의 정치지형 변화 등 여의도 정치권이 풍랑에 휩싸일 전망이다. 정치권력 구도 급변의 신호탄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빅3' 중 가장 큰 파고를 몰고 올 인물은 원내 재입성에 성공한 김무성 의원이다. 김 의원은 친박 좌장 출신이었으나 박근혜 대통령과의 입장 차로 '탈박(脫朴)'한 뒤 지난 대선 때 다시 부름을 받고 대선 승리를 진두지휘했다.

5선인 김 의원의 귀환은 여당 권력 지형에 큰 영향을 몰고 올 것으로 전망된다. 벌써 차기 당권주자로 단숨에 급부상하고 있다. 무기력한 현 여권 지도부의 리더십에 대한 목마름을 해소해줄 수 있다는 기대감에서다. 조기 전당대회를 거론하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한 친박의원은 "사실상 현재 당 지도부를 구원할 수 있는 인물은 김무성 의원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24일 당선 직후 "새 정부가 성공한 대통령과 성공한 정부라는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바쳐 최선을 다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그러면서 "야당을 대결 상대로만 여기지 않고, 같이 호흡하는, 그리고 필요할 땐 과감히 양보하는 상생 정치를 통해 국민으로부터 신뢰받는 여당의 정치를 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의 복귀로 당장 내달 초 최경환'이주영 의원의 대결로 압축된 원내대표 선거에도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원조 친박 대 신(新) 친박'의 대결로 불리는 원내대표 경선에서 친박 좌장으로 불렸던 김 의원의 무게감은 묵직하게 느껴질 수밖에 없다. 최 의원은 지난달 김 의원의 선거사무실에 직접 찾아가는 등의 '구애'를 한 적이 있다. 당 일각에선 '김무성 당 대표-최경환 원내대표'를 통해 현 여권 지도부의 리더십 부재를 상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3선으로 여의도로 돌아온 이완구 의원도 선이 굵은 정치인 스타일로 카리스마가 남다르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3선에 충남도지사를 지낸 중량감을 바탕으로 충청권 대표주자 대열에 들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이 의원도 당선 소감에서 "국회의원 한 번 더 하려고 출마한 게 아니다. 충청 지역을 위한 큰 정치를 하겠다"고 말했다. 김종필 전 총리 이후 이회창 전 자유선진당 총재로 이어지던 충청 지역 '대표 정치인'으로 자리를 꿰차겠다는 포부로 읽힌다.

한 여권 인사는 "김무성'이완구 의원의 여의도 입성으로 새 정부 인사 파동이나 정부조직개편 처리 과정에서 무기력하게까지 보였던 여당 내에 새로운 긴장감을 불어넣을 것으로 생각된다"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야권에서는 '새 정치'를 앞세운 안풍(安風)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서울 노원병 보궐선거에서 허준영 새누리당 후보를 여유 있게 제친 안철수 의원 때문이다. 지난해 대선 유력 후보였으나 야권 대통합이라는 대명제에 갇혀 사퇴한 뒤 4개월 만에 중앙 정치 무대에 재등장한 안 의원은 범야권 정계개편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안 의원은 24일 당선 확정 직후 "저의 당선은 제 승리라기보다는 새 정치를 바로하라, 민생 문제 챙겨달라, 싸우고 막말하지 말라는 말씀으로 깊이 새기겠다"고 말했다. 안 의원의 원내진입 시나리오 중 하나인 민주통합당 입당보다는 새 정치를 앞세운 신당 창당 쪽에 무게감이 실리는 발언이라는 게 중론이다.

안 의원은 이르면 5월 초부터 새 정치를 기치로 내걸고 세력화 작업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당장 10월 재'보궐선거와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염두에 둔 포석이라는 얘기다. 안 의원 측 관계자는 "10월 재'보궐선거 승리가 1차 목표다. 신당 창당이 불가피하다는 공감대는 형성돼 있지만 어떻게 하겠다는 구체적인 방안은 아직 마련돼 있지 않다"고 했다.

야권 한 인사는 "'안의 귀환'에 민주당 등 야권에선 비상이 걸렸다"고 했다. 그는 "안 의원이 민주당 입당보다는 신당 창당 등으로 자체 세력화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면서 "그동안 민주당 중심의 균형추가 안 의원 쪽으로 기울 수 있는 만큼 걱정이 많다"고 말했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