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아프리카 잠비아에 '대구봉덕성당 우물'

아프라카 잠비아 무프리라 지역 성전 건축과 큰 우물 건설에 도움을 주고 있는 봉덕성당. 서경돈 주임신부와 예수성심시녀회 소속 안 안젤라(오른쪽)
아프라카 잠비아 무프리라 지역 성전 건축과 큰 우물 건설에 도움을 주고 있는 봉덕성당. 서경돈 주임신부와 예수성심시녀회 소속 안 안젤라(오른쪽)'김 리나(왼쪽) 수녀.
아프리카 잠비아 무프리라 지역 주민들과 아이들은 프란치스코 전교봉사 수녀회로 인해 따뜻해지고 있다.
아프리카 잠비아 무프리라 지역 주민들과 아이들은 프란치스코 전교봉사 수녀회로 인해 따뜻해지고 있다.

아프리카 잠비아 무프리라 지역에 대구 남구의 봉덕성당이 등장한다. 뭔가 어울리지 않는 듯 하지만 이들에게 생명수를 전해줄 따뜻한 이름이다.

대구 남구 봉덕성당이 2천만원을 모금해 이 지역의 마을 사람들이 모두 이용할 수 있는 큰 우물을 파는 비용으로 전달됐기 때문이다. 이 우물의 명칭이 '봉덕성당 우물'로 결정된 것. 우물은 현재 파고 있는 중이며, 10월에 완공된다. 우물 입구에는 '봉덕성당 우물'이라는 표지판이 선다.

봉덕성당이 잠비아와 큰 인연을 맺게 된 것은 대구가톨릭대 총장을 지내고 봉덕성당 주임신부를 맡고 있는 서경돈 신부가 신자들의 자발적인 성금 기부를 독려한 결과다. 봉덕성당이 잠비아를 돕게 된 것은 프란치스코 전교봉사 수녀회에 있는 대구 출신 김무열(임마누엘라) 수녀 때문.

임마누엘라 수녀는 18년 전 한국 천주교회 사상 처음으로 아프리카 선교를 떠났으며, 2년 전 암투병까지 하면서도 18년째 잠비아에서 전교봉사를 하고 있다. 이 수녀가 소속된 프란치스코 전교봉사 수녀회는 무프리라 지역에 성전 건립을 계획했는데, 2천만원이 부족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 소식을 접한 봉덕성당이 나선 것이다.

서경돈 신부는 "대구 출신 수녀가 잠비아에서 암투병을 하면서도 18년째 봉사하고 있다는 소식을 접하고, 교회 친교잔치 바자회 등을 통해 모금한 1천300여만원에 성당 몇몇 신자들이 조금 더 돈을 보태 2천만원을 맞췄다"며 "이후에 우물을 파는데도 2천만원을 보탰다"고 말했다.

봉덕성당은 2년 전 고(故) 이태석 신부의 남수단 선교에도 도움을 주고자, 500만원을 후원했다. 서 신부는 "기도할 때, 나와 우리 가족을 위해서도 해야 하겠지만 조금만 눈을 돌리면 우리 사회, 국가, 전 세계를 위해 봉사할 수 있는 마음을 가질 수 있다"며 "아프리카 잠비아와 이태석 신부를 돕는데 적극 동참해준 신자들의 도움으로 이런 일들을 봉덕성당의 이름으로 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서경돈 신부는 국제적인 교류와 봉사정신을 대구가톨릭대 총장 시절에도 실천했다. 1950, 60년대 우리나라가 어려웠던 시절에 유럽 천주교회들이 대구 청년들의 유학을 도왔듯이, 이젠 우리가 어려운 나라들을 도와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서 신부는 총장 재임기간 동안 우간다, 방글라데시 등 잘살지 못하는 나라들의 청년들이 매년 2명씩 대구가톨릭대에서 유학할 수 있도록 도왔다.

예수성심시녀회 안 안젤라'김 리나 수녀는 "봉덕성당이라는 대구의 한 지역 성당이 멀리 아프리카 잠비아라는 나라를도울 수 있다는 것이 신기하기도 하고 자랑스럽다"며 "18년 전 아프리카를 향해 떠난 임마누엘라 수녀가 아프리카에서 하느님의 사랑을 실천하는 모습에 감동했다"고 말했다.

권성훈기자 cdrom@msnet.co.kr

사진'정운철기자 woon@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