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새누리당 친박 지도부, 제 목소리 내야

최근 주요 당직 인선을 마친 새누리당의 황우여 대표 2기 체제는 '친박'으로 요약된다. 홍문종 사무총장은 지난해 대선 당시 박근혜 후보의 선대위 조직본부장으로 활동했고 유일호 대변인은 박 대통령의 당선인 시절 비서실장이었다. 김재원 전략기획본부장 역시 대표적인 친박 인사로 분류된다. 지난주 원내대표로 선출된 최경환 의원은 친박 핵심 인물이며 최고위원 7명 중 6명이 박근혜계다.

박근혜정부의 집권 초기를 맞아 친정 체제를 구축, 국정 운영을 뒷받침하기 위한 포석으로 보인다. 박근혜계 내부에서 홍 사무총장의 발탁에 청와대의 뜻이 작용했다고 설명하기도 한다. 정부 초기에 대통령을 배출한 계파가 당권을 쥐고 청와대와 교감하는 일은 이전에도 있었다. 충분히 이해가 가지만 부작용이 만만찮았던 과거 경험에 비추어보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없다.

멀리 갈 것도 없이 이명박정부의 집권 초기 양상이 그랬다. 친이명박계 지도부가 일방적인 독주를 하는 바람에 공천 파동이 일어나는 등 당내 반발이 거셌다. 당시 반대편에 섰던 친박근혜계가 같은 길을 가고 있으니 딱한 노릇이다. 더욱이 박근혜계는 민심보다 대통령의 뜻을 헤아리는 데 더 주력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최 원내대표가 경제민주화 속도론을 언급하는 등 벌써 그러한 행태를 보이고 있다.

대통령이 여당 의원들을 수족처럼 부려 청와대의 거수기로 전락하는 구태는 없어져야 한다. 그러나 박 대통령의 일방적인 리더십과 새누리당 지도부의 면면을 보면 우려가 적지 않다. 새누리당 지도부가 청와대에 대해 제 목소리를 낼 수 있어야 당-청 관계의 회복은 물론 국회의 위상을 높일 수 있다. 당직 독식으로 말미암은 당내 갈등을 방지하는 것도 지도부의 몫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