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방환경청, 대구시상수도사업본부 등 관계기관은 2일 합동 기자회견을 열고 "안전한 수돗물 공급에는 문제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최근 강정고령보 등 6개 보가 있는 낙동강 중류에 남조류 세포수가
폭염일수 증가와 마른장마 등으로 인해 지난달 중순부터 본격적으로 증가했습니다.
특히 장마 이후 10월까지가 남조류 대량 증식의 최적기라는 것을 고려하면
녹조 문제는 더 심각해질 전망입니다.
이에대해 관계기관들은 남조류는 세포 내에 기포를 갖고 있어 수심 3m 이내 물의 표층에 주로 분포하므로 수심 5m 이상에서 취수할 경우 남조류 검출량이 미미하다는 게 이들의 설명입니다.
한편 녹조의 또 다른 원인으로 꼽히는 보를 철거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최흥진 대구지방환경청장은 "보 설치에 막대한 국가예산이 투입된 만큼
사회적 합의를 통해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뉴미디어부 maeil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문형배 "선출권력 우위? 헌법 읽어보라…사법부 권한 존중해야"
장동혁 "尹 면회 신청했지만…구치소, 납득 못 할 이유로 불허"
이준석 "강유정 대변인, 진실 지우려 기록 조작…해임해야"
권성동 구속 직후 페북 입장문 "민주당, 피냄새 맡은 상어떼처럼 몰려들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