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동해안 적조에 모든 행정력 집중해야

적조 경보가 7일 오후 영덕'울진까지 확대 발령돼 방제에 비상이 걸렸다. 이로써 경북 동해안 전역이 사실상 적조 발생 구간이 되면서 연안 가두리양식장의 물고기 집단 폐사 등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날 전망이다. 당국이 긴급히 황토를 살포하고 물고기 방류 등 비상 대책을 강구하고 있지만 별다른 기상 변화가 없는 한 큰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국립수산과학원은 현재 동해 남부 연안 냉수대의 약화로 적조 띠가 광범하게 형성되고 있다고 밝혔다. 동해안 바닷물 온도가 적조 발생에 적합한 22~25℃에 달해 피해가 커지고 있고 확산 속도도 빨라 강원도까지 적조가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현재까지 파악된 피해만도 결코 작지 않다. 7일 포항시 장기면의 한 양식장에서 넙치 11만여 마리가 집단 폐사했고, 경주 감포의 양식장에서도 1만 마리가 죽었다. 동해안 적조 발생 12일 만에 포항 지역 양식장 물고기 76만여 마리가 죽어 나갔다. 당국이 추산한 피해 금액만도 12억 원에 달한다.

동해 연안이 적조 발생의 무풍지대는 아니지만 올여름의 적조 발생과 확산은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다. 확산 속도도 예상보다 빨라 방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한다. 앞서 적조가 발생해 남해안이 초토화되고 동해안까지 확산될 기미를 보이자 해양수산부는 피해 최소화 차원에서 양식장 물고기 방류 등 긴급 지침을 마련했다. 하지만 보상 문제나 복잡한 방류 절차 때문에 작업이 지지부진해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다.

당국이 이처럼 적조가 코앞에 닥치고서야 허둥지둥 대책을 내놓는 것은 심각한 문제다. 평소 적조 발생 시 긴급 대책이나 비상 대응 요령 등을 면밀히 세웠다면 이번처럼 발만 동동 구르는 일은 없을 것이다. 더구나 황토 살포가 한시가 급한 마당에 포항시가 규정과 계약 절차를 문제 삼아 황토 선박 계약을 늦잡쳐 양식 어민들 불만이 커지고 있다. 포항 지역에 경북 동해안 양식장의 90%가 집중돼 있는 현실에서 포항시의 이 같은 탁상행정에 말문이 막힐 따름이다.

적조는 정부와 지자체, 관계 기관은 물론 민간까지 총력전으로 대응하지 않으면 안 되는 자연재해다. 그럼에도 당국은 안이한 대응으로 일관하고 있고 민간 부문 또한 협조에 소극적인 것은 결국 피해를 더욱 키우고 화를 부르는 일이다. 늦었지만 모든 행정력을 동원해서라도 적조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힘을 모아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