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위기의 대구FC 나아갈 길은] "창단 주체 대구시·대구상의 책임 다해야"

초창기 상의회장이 대표이사, 市와 손잡고 주도적 역할해야…2차 시민주 공

대구 체육계는 대구시의 시립구단 방침에 대해 크게 우려하고 있다. 대구시 체육진흥과 관계자들이 평소 체육계를 '투명하지 않은 곳'으로 몰아세웠기 때문이다. 체육인들은 시가 체육계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행정 편의주의 방식으로 '갑'의 권한을 행사해왔다고 주장한다. 김 단장의 사퇴 파문도 이런 맥락에서 빚어진 것으로 체육인들은 보고 있다.

대구시는 김 단장의 사의 표명이 있자마자 대구FC의 '새판 짜기'에 대한 계획을 밝혔다. 대구FC가 전반기 1승도 거두지 못하고 꼴찌를 헤매고 대구FC의 예산 사용이 불명확해 보이자 일찌감치 새로운 구단 운영 계획을 마련한 것이다.

대구시는 김 단장의 임기인 내년 1월 31일까지 김대권 문화체육국장이 단장 겸 대표이사를 맡아 구단을 직접 운영할 방침이었다. 김 국장은 대구FC의 이사를 맡고 있어 이사회 의결에 따라 곧바로 단장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지역 한 체육인은 "시가 대구FC를 직접 맡으면 예산 확보에 도움이 될 수도 있지만, 시민구단의 존재 자체를 훼손하는 일"이라며 "국내 최초로 시민들과 지역 기업이 출범시킨 시민구단이 자치단체가 운영하는 시립구단으로 전락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또 상당수 체육인은 대구FC 창단을 주도한 대구상공회의소가 예전처럼 다시 구단 대표이사를 맡을 것을 주문하고 있다. 대구FC는 창단 당시 노희찬(대구상공회의소 회장) 대표이사 체제로 운영되면서 지역 상공인들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았다.

대구상공회의소는 그러나 대구FC 지원에 부담을 느끼면서 이인중 회장 때 대표이사 자리를 내놓았고, 이후 지원을 외면하고 있다. 대구FC가 올해 유니폼과 경기장 스폰서로 활용한 대성에너지는 최근 광고비를 주지 못하겠다고 해 비난받고 있다.

대구시축구협회 관계자는 "대구FC의 창단 주체는 대구시와 대구상공회의소다. 대구를 이끌고 있는 두 기관'단체가 창단을 주도하면서 시민 4만7천여 명이 주주로 참여했다"며 "대구상공회의소는 앞으로 대구시와 함께 다시 한 번 대구FC의 미래를 설계해야 한다"고 했다.

대구FC 창단 때 이사로 참여했던 한 관계자는 "승강제가 실시되는 현 시점에서 미래를 보고 대구FC를 새로 설계해야 한다. 지금과 같은 지원으로는 2부 리그 추락이 예상되는 만큼 이에 따른 구단 운영 계획을 마련해야 하고, 무엇보다 전용구장'클럽하우스 건립이 시급하다"며 "지역 상공인들이 앞장선다면 2차 시민주주 공모나 후원제도 등 안정적인 재원 확보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김교성기자 kgs@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