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은 추석을 앞두고 벌초 활동이 늘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예초기 안전이용수칙을 발표했다.
농촌진흥청의 2011년 농기계 사고 조사에 따르면 예초기 100대당 사고 발생 빈도는 0.16건으로, 경운기(0.79건)와 트랙터(0.38건) 다음으로 많았다.
예초기 사고 유형은 '부러진 칼날이나 돌이 튀어 다치는 경우'가 58%로 가장 많았다. '칼날에 직접 상해를 입는 경우'와 '예초 작업 중 넘어져 다치는 경우'가 각각 8%로 뒤를 이었다. 사고 원인은 '사용자 부주의'가 50%로 가장 많았고, '사용 미숙'과 '안전장비 착용 미흡'이 각각 25%로 뒤를 이었다.
예초기 사용 시 긴팔, 긴바지 차림에 안전모와 보호안경, 무릎보호대, 장갑 등 안전장비를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 벌초 작업 전 빈병이나 깡통, 돌 등을 미리 제거하고, 예초기 칼날의 균열과 휨 상태 등을 점검해야 한다. 작업 반경 15m 이내에는 다른 사람이 접근하지 않도록 조치해야 한다.
예초기는 반드시 두 손으로 잡고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돌리며 작업해야 하며, 기계에 지나친 떨림이나 소음 발생 시 시동을 끄고 칼날 조립 상태 등을 점검해야 한다.
자세한 예초기 안전이용수칙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홈페이지(www.naas.go.kr) 농업과학기술정보→농기계→안전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다. 황희진기자 hhj@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