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 심해 오징어 사진이 포착돼 눈길을 끌었다.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몬테리만 해양연구소(이하 MBARI) 측은 수심 1000~2000m 심해에서 촬영한 희귀 오징어를 연구한 논문을 학술지에 발표했다.
이번에 연구대상이 된 오징어(학명: Grimalditeuthis bonplandi)는 사체가 해안으로 떠밀려온 후 처음 세상에 알려져 살아있는 상태로는 학자들에게 목격된 바 없다.
따라서 해양연구소 측은 원격 조종되는 심해 잠수장비를 몬테리만 심해에 투입한 후에야 그 존재를 파악할 수 있었다.
연구팀의 눈길을 사로잡은 이 오징어의 가장 큰 특징은 촉완(촉수)다.
일반적으로 오징어는 4쌍의 다리와 1쌍의 길게 뻗은 촉수가 있는데 이 촉수는 주로 먹이를 포획하는데 쓰인다.
MBARI 행크-쟌 호빙 박사는 "이 오징어는 보통의 오징어와는 달리 엄청 길고 얇은 촉수를 가지고 있다"며 "특히 눈길을 끄는 것은 이 촉수가 사냥용이 아닌 주로 '수영'을 하기 위한 용도를 쓰인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연구팀은 이 오징어가 사냥하는 모습을 포착하지 못해 어떻게 먹이를 먹는지는 알아내지 못했다.
호빙 박사는 "심해에 사는 오징어는 일반적인 생물과는 달리 별난 생존 방식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면서 "먹이가 적은 심해에서 이 오징어가 살아남기 위해 진화한 과정을 연구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희귀 심해 오징어 사진을 접한 누리꾼들은 "저 오징어는 맛이 어떨까?" "우와~ 촉수 진짜 기네 징그럽다" "수영하려고 무게 때문에 달고 다니나? " "희귀 심해 오징어 크기 엄청 커보이네?" 등의 반응을 보였다.
뉴미디어부01 maeil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