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자노트] 3년 만에 또 온 감사원의 영양군 특별조사

농촌 일손돕기와 전국 고추판촉활동 등으로 분주해야 할 영양군이 감사원 특별조사로 얼어붙고 있다.

최근 감사원 특별조사국은 영양 삼지연꽃테마공원 조성사업과 반딧불이생태공원 조성사업에 대한 감사를 벌였다. 감사원은 이 과정에서 군 공무원들을 동원해 사업부지 내 심어진 수천여 그루의 나무를 일일이 체크하도록 하고, 중장비를 동원해 성토재 사용 등 설계대로 조경공사가 진행됐는지를 꼼꼼히 따졌다.

이번 감사 배경을 둘러싸고 영양지역에서는 '내년 선거를 둘러싼 흠집 내기 제보에 따른 것' '인사에 불만 품은 내부 공무원의 한풀이'라는 등 부정적 이야기들이 나돌고 있다. 선거철만 되면 터져 나오는 각종 음해와 투서, 진정 등 지역 분열을 부채질하는 볼썽사나운 일들이 또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는 우려다.

특히 수년 동안 영양군을 둘러싼 진정과 감사원 감사'고발, 검찰의 조사와 법원의 무죄 판결 등 4년 전 지방선거를 앞두고 빚어졌던 일련의 사건들이 이번 조사를 계기로 또다시 떠올려지고 있다.

지난 2010년 4월 감사원은 영양군에 대한 감사를 통해 권영택 영양군수를 오랫동안 비리를 저질렀다는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이 여파로 권 군수는 한나라당 공천을 박탈당하는 수모를 겪었다. 급기야 권 군수는 감사원 감사결과에 대한 검찰의 무혐의 처분 결과서를 공개하면서 정면으로 반박해 무소속으로 당선됐으며 1심과 2심 법원에 이어 지난해 5월 대법원 무죄 확정판결을 받아냈다.

일부 주민들은 "만약 감사원이 이번 특별조사를 '나올 때까지 뒤진다'는 말처럼 무리하게 진행할 경우 4년 전 당한 굴욕에 대한 표적 감사로 비칠 수도 있다"는 반응을 내놓고 있다.

이번 감사 배경을 둘러싸고 '승진에 불만을 품은 직원의 내부고발'이란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해 감사원 관계자는 "특별조사는 규모나 범위를 정해두지 않는다. 조사과정에서 새로운 사안이 발생하면 확대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경우 조기에 중단할 수도 있다"며 "'나올 때까지 뒤진다'는 식의 표적 감사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아무쪼록 표적'과잉감사란 오해를 받지 않도록 공정한 감사를 통해 내년 지방선거를 앞둔 마지막 논란거리가 되기를 기대한다.

영양'엄재진기자 2000jin@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