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뜰에서부터 시작되는 계절의 교차로에서는 어느덧 추석이 다가와 있다.
추석이 오면 우리는 고향으로 향하는 긴 차량 행렬로 10시간이 넘는 대장정의 길을 인내심으로 기어이 달려간다.
아마도 그곳은 조상 때부터 대대로 태를 묻고 또 내가 어버이로부터 태어나 지금까지 존재하는 나의 근원이 그곳에 있기 때문이리라. 또한 그곳은 유년기에 경험한 애수에 젖은 풋풋한 기억의 조각들이 가족과 고향에만 오롯이 담겨 있어 때론 삶에 지쳐 있다가도 그들을 만나고 올 때는 다시 힘찬 활력소를 얻게 되기를 소망하기 때문이리라.
그러나 어떤 가정은 추석명절 후에는 이런 기대는 온데간데없고 다양한 마음의 전쟁을 치르고 부상병처럼 심신 후유증에 시달리기도 한다. 고향집을 갈 때는 반가운 마음과 가족을 만나는 기쁨을 기대하고 가서는 그 마음과는 다르게 가족 수 만큼 상처주고 받기를 하여 행복한 추석이 아닌 스트레스와 심적 부담이 남는 불편한 명절이 되어버리는 것이다.
어떤 이는 시어머니의 자식들에 대한 차별적인 언행에 상처를 입고, 어떤 이는 돈을 잘 버는 형제의 경제력 자랑에 마음이 상하고, 또 어떤 이는 자녀교육 성공담에 슬며시 밀려나야 하는 상황에 속상해한다. 또 어떤 이는 명절 음식 장만 때 미꾸라지처럼 요리조리 일을 피하며 협조하지 않는 동서들에게 기분 상하고, 또 어떤 이들은 뭐니뭐니해도 배우자가 시댁에서 아내를 남보듯하며 그 수고에 대해 한마디 따뜻한 격려 없이 자기만 먹고 마시고 노는 이기적인 모습에 서운함과 스트레스를 받는다.
이번 추석 때 대가족 모두 행복하려면 자기 안에 있는 미해결된 '내면의 아이'(자기)를 잘 달래주길 권유하며 몇 가지 추석행복 만들기를 제안한다.
먼저, 대가족이 모일 땐, 자기와 가족의 자랑을 내세워 교육이나 직장 얘기를 하여 위화감을 주기보다는 어른스럽고 든든한 '덕담'과 상대에게 맞는 '칭찬의 말'을 준비하는 게 어떨까. 또 명절날 여성들에게 부여되는 음식장만과 가사일은 최대한 부담을 줄여주어 남성들과 아이들도 분담하면 분위기도 즐거워져 힘은 반으로 줄고 기분은 배로 좋아질 것이다. 또 시어른들은 며느리들이 친정나들이를 할 수 있도록 미리 배려하여 돕는 것이 필요하다. 며느리인들 왜 명절 때 부모님 집을 찾고 싶지 않겠는가.
특히, 남편들은 추석 전에 꼭 기억할 것이 있다. 추석 전 시댁에 가기 전에 아내 손을 잡고 등을 토닥이며 이런 따뜻한 말 한마디를 미리 건네는 것이다.
"이번 추석준비에도 당신 또 많이 힘들고 애쓰겠네요. 걱정 말아요. 내가 힘껏 가서 도울 것이고, 당신만 일하게 두지 않을게. 그리고 고향집에 가도 당신을 늘 지켜보고 또 함께 할게."
추석을 앞두고 아내에게 전하는 남편의 따뜻한 한마디는 아내로 하여금 시댁 가족을 만날 때 자신감이 생기게 하고 그들을 더 사랑하고픈 마음이 샘솟아나게 한다는 마음의 이치를 깨닫게 해줄 것이다. 행복한 추석은 그렇게 시작되는 것이다.
김미애(대구복지상담교육원 원장)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