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군국주의자 자처하는 아베 일본 총리

미국을 방문한 아베 일본 총리가 '나를 우익 군국주의자라 부르고 싶으면 그렇게 부르라'며 연일 망언을 이어가고 있다. 아베 총리는 25일 미 보수 성향 싱크탱크인 허드슨연구소에서 열린 강의에서 중국의 군비 증강을 핑계로 이같이 말했다. 아베는 "나에게 주어진 역사적 사명은 일본인에게 '적극적 평화주의'의 깃발을 자랑스럽게 짊어지도록 촉구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베 총리가 이처럼 거침없이 군국주의자를 자처하고 평화주의를 입에 올리는 것은 일본 국내의 높은 지지도가 그에게 힘을 실어주고 있기 때문이다.

아베는 최근 들어 외교'안보 전략을 언급하며 '적극적 평화주의'라는 단어를 즐겨 쓰고 있다. '적극적으로 세계 평화와 안정에 공헌한다는 의미'라는 사족을 달고 있지만 이는 군사대국으로 나가기 위한 위장 슬로건일 따름이다.

이는 그가 스스로를 군국주의자로 불러달라고 한다거나 이 같은 적극적 평화주의 실현을 위해 집단적 자위권이 필요하다는 논리를 펴고 있는 데서 잘 드러난다. 한 걸음 더 나가 미국이 주된 역할을 맡고 있는 지역 및 세계 안보 틀에서 일본이 약한 고리가 되어서는 안 된다며 군사대국 실현에 대한 야욕을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아베는 또 유엔 총회 연설에서 "지금도 분쟁 지역에서 여성에 대한 성적 폭력이 계속되는 심각한 일이 벌어지고 있다. 일본은 여성에 대한 이러한 범죄행위를 막는 데 모든 가능한 노력을 기울이겠다"며 3년간 30억 달러의 정부 개발원조를 약속했다. 그러나 아베 총리는 정작 세계인의 지탄을 받고 있는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는 이율배반적인 모습을 보였다.

일본 총리 입에서 자연스레 군국주의자라는 말이 튀어나오는 것이 한국이나 중국 등 이웃 국가들로서는 경악할 일이다. 강제 징용과 탄압, 위안부 강제 동원 등 침략의 피해를 입었던 당사국으로서는 가해자 일본국 총리의 발언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EU와 달리 오늘날 동북아에 불협화음이 일고 있는 것은 일본이 과거사에 대한 철저한 반성과 사과라는 화해의 첫 단추를 생략했기 때문이다. 특히 아베 정권은 우리 국민들에게 과거 전쟁을 일으켰던 일본과 현재의 일본이 다른 나라라는 사실을 각인시키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아베 정권하의 일본은 과거 군국주의로의 부활을 노리는 나라에 다름 아니다. 우리 국민들에게 아베는 이미 우익 군국주의자로 낙인찍혀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