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경북 예산' 굵직한 현안들 1차전 통과

대구 물산업·강북 도청공사 등 원안 상임위 예비심사 통과

국회 상임위가 내년도 예산안 예비 심사를 마무리했다.

정부가 내놓은 예산안보다 11조5천억원 정도가 늘어났다. 복지예산의 덫에 걸려 좌초 위기에 놓였던 경북지역 SOC 사업을 비롯한 지역 예산의 경우 예비 심사를 무난히 통과했다.

하지만 일부는 예결위의 감액 심사 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어 최종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 대구시와 경북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에 따라 대구경북 의원들도 지역 예산확보를 위해 총력전에 나섰다.

대구가 국비 증액을 요청한 사업은 ▷초광역연계 3D융합산업 육성(525억원 증액) ▷안심-지천 외곽순환도로 건설(326억원 증액) ▷대구 연구개발특구 기술사업화(200억원 증액) ▷도시철도 1호선 서편 연장(151억원 증액)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104억원 증액) ▷도시철도 PSD(스크린도어) 설치(150억원 증액) 등이다.

경상북도는 ▷도청 신청사 공사(484억원 증액) ▷신라왕궁(월성) 복원(63억원 증액) ▷경부고속도로(영천~언양) 확장(500억원 증액) ▷구미~군위 IC간 국도 확장(30억원 증액) 등이다.

내년에 반영될 예산안의 규모가 크지 않은 만큼 지역 의원들은 예결위 예산안조정소위의 감액 심사에서 걸리지 않겠다는 의지를 다지고 있다. 특히 대구시 역점 사업 가운데 하나인 물산업클러스터 사업이나 경북의 도청 신청사 공사, 신라왕궁 복원 사업 등은 국비 확보가 절실한 만큼 각오도 대단하다. 상임위를 통과한 사업 가운데 대구의 국가심장센터 설립 사업, 폭염대책 시범지역 연구, 경북의 세계유교정신문화 포럼 개최 등은 신규사업으로 지역 의원들의 정치력이 빛을 발할 지 주목되는 사업이기도 하다.

하지만 지역 정치권이 증액을 요구한 예산은 상당수가 이른바 '쪽지 예산'이어서 예결위의 감액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국회 예결위 관계자는 "증액을 요구한 예산이나 사업의 5분의 1 정도가 반영된다고 보면 된다. 감액 심사를 거치고 나면 지역 사업 일부는 다음 기회로 밀리게 될 수도 있다"며 "다른 지역에 비해 지역 정치권의 국비 확보 노력이 많은 편이어서 전망이 밝은 편"이라고 했다. 국회 예결위는 이번 주 내 감액 심사를 마무리한 뒤 내주 중으로 증액 심사를 할 예정이다.

이지현기자 everyday@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