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민·롯데·농협카드 17일부터 석달간 영업 정지

금융사의 대규모 고객 정보 유출과 관련 KB국민카드와 롯데카드, NH농협카드가 이르면 17일부터 3개월간 영업정지된다. 신규 가입과 대출 업무뿐 아니라 카드슈랑스(카드사의 보험상품판매), 여행업 등 부대업무까지 전면 금지된다.

금융사 등을 사칭한 불법 대부광고 및 대출 사기 전화번호는 3일부터 즉시 차단되며 100만원 이상 이체 시 본인 확인을 추가하는 방안이 전 금융사로 확대 시행돼 3월까지 운영된다.

다만 재발급이나 카드 결제 등 기존 고객 서비스는 계속된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3일 국민카드와 롯데카드, 농협카드에 고객 정보 유출 사고와 관련해 '3개월 영업 정지' 결정을 공식 전달했다. 이 같은 결정은 카드사들의 10일간 소명 절차를 거쳐 14일 금융위원회 회의를 통해 확정한 뒤 17일부터 효력이 발생한다. 카드사 영업 정지는 2003년 카드 대란 이후 10년 만에 처음이다.

앞서 금감원은 개인정보 관리에 관한 내부 통제 점검을 위해 이들 3개 카드사에 대해 특별 검사를 진행해왔다. 이 과정에서 기존 고객 정보 유출뿐 아니라 내부 직원의 고객 정보 관리 부실도 추가로 드러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고객 정보 유출 카드사에 대한 징계를 영업 정지 3개월로 최종 확정했다. 14일 금융위원회를 개최한 뒤 15일부터 영업정지를 내릴 수 있으나 주말인 점을 고려해 17일부터 영업정지에 들어가게 될 것이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징계는 기관 조치와 인적 조치를 나눠 진행하기로 했다. 우선 사고 경위가 명확해 기관에 대해 영업정지를 내리지만 최고경영자(CEO) 징계는 임직원 책임 관계를 소명하는 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사태가 마무리되는 대로 단행할 것이다"고 했다.

이에 따라 이들 3개 카드사 CEO는 이달 말에 해임 권고 등의 중징계를 받게 될 예정이다. 13만여건의 고객 정보를 유출한 한국씨티은행과 한국스탠다드차타드(SC)은행 CEO도 비슷한 절차를 밟게 된다.

사실상 사형선고와 같은 이번 조치에 카드사들은 공황상태다. 이미 카드 재발급 등에 투입된 비용만 500억 원에 달해 올 예상 수익을 대부분 써 버린 상태고 탈회 건수가 100만건에 육박하는 등 기존 인프라도 흔들리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1일(오후 6시 기준) 국민'롯데'농협카드의 탈회 건수는 총 84만건(국민 28만6천건, 롯데 21만7천건, 농협카드 33만7천건), 재발급'해지 건수는 612만건(재발급 383만7천건, 해지 228만3천건)에 달한다. 이들 카드사는 영업정지와 함께 다른 금융사들처럼 3월까지 전화, 문자메시지, 이메일 등 비대면 대출 모집이나 영업을 할 수 없게 됐다.

최창희기자 cchee@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