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가 고객과의 첫 거래를 제외하고는 주민등록번호를 요구할 수 없게 된다.
또 금융상품 가입 신청서에 정보 이용 동의 문구가 커지고, 전화영업 때는 고객 안내가 강화된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이르면 올해 하반기부터 이 같은 내용의 개인정보유출 대책을 시행할 방침이라고 5일 밝혔다.
금융사가 신규 고객과 거래할 때 처음에는 주민번호를 요구하고 이후 같은 회사의 다른 상품에 가입할 때는 신분증이나 인증시스템으로 대체하도록 했다. 또 이달 말부터 불필요한 고객 정보를 일제히 삭제하고, 정보 유출 사고가 빈번한 구형 카드결제 단말기 교체 작업도 올해 마무리하기로 했다.
금융상품 신청서 양식도 크게 바뀐다. 이름, 식별번호, 주소, 연락처, 직업, 국적 등 필수 항목 10여 개와 소득, 재산, 연령 등 선택 항목으로 나뉘고, 제휴사 정보 공유도 고객의 개별 동의를 받아야 한다. 기존에는 포괄적인 동의 한번으로 모든 고객 정보가 제휴사 등으로 넘어갔다.
금융사는 거래 종료 후 5년이 지나면 원칙적으로 고객 정보를 모두 삭제해야 하며, 거래 종료 고객이 요청하면 삭제 등 보안조치를 시행하는 정보보호 요청제도도 도입된다.
전화영업(텔레마케팅)에 대한 매뉴얼도 만들어 전화로 금융상품 소개 시 해당 고객의 개인정보 습득 절차 등을 설명하도록 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개인 정보 유출에 취약한 마그네틱 카드용 결제 단말기(포스단말기)를 집적회로(IC) 단말기로 바꾸는 작업을 올해 말까지 끝내기로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