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종상(대구 남구 자유샛길)
10년 넘게 인터넷으로 거의 매일 이메일을 주고받는 친구들이 있다. 그게 언제부터인가 그룹 메일 형태로 발전했다. 늘 하던 친구 외에 각기 그의 아들이나 동생, 그리고 또 다른 친지의 메일까지 서너 통의 편지를 같이 읽게 됐다.
매일 뭘 그렇게 쓸 거리가 있으랴 하겠지만 일기도 가끔 쓰는 것보다 매일 쓰면 오히려 더 쉬운 것과 같이 얘깃거리는 생기기 마련이다.
멀리 타국에 있는 가족, 국내에 있어도 자주 만나지 못하는 형제와 친지들이 이렇게 자주 메일을 주고받다 보면 멀리 떨어져 있다는 걸 잊을 정도다. 집에 컴퓨터가 없어도 주민센터. 우체국, 도서관 등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다.
난 외로움을 느끼기 쉬운 여든의 늙은이다. 그러나 내가 먼저 글을 써서 애들한테 보내면 그들도 반가워하고, 답장도 보낸다. 이 얼마나 흐뭇한 일인가. 더러는 이런 편지 쓰기를 어려워서 못한다고 하겠지만 겁내지 말고 시도해 보시라. 단 5분이면 배울 수 있다. 이 말이 믿기지 않으면 손주한테 물어보시라. 나도 그렇게 배웠고 집엔 컴퓨터가 없지만 쉽게 이용하고 있다.얼마나 좋은 세상인가. 늙었다고 기죽지 말고 이 편리한 기기들을 활용하면서 외로움을 날려버리자.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