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은 길에서 신문 읽는 사람을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지하철, 버스에서도 스마트폰을 들고 한 뼘짜리 작은 창으로 기사를 읽는 사람들이 대부분입니다. 지하철에서 양팔을 쫙 벌려 신문을 읽던 이들의 모습이 오히려 그립기까지 하네요. 신문기자로서 인정하기 싫은 현상이지만, 이것이 현실입니다. 맞습니다. 종이 신문은 점차 힘을 잃어가고 있고, 지금은 이 현상이 더 두드러지고 있지요. 지금 신문은 위기입니다.
어떤 이들은 말합니다.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 SNS가 주름잡는 시대에 하루에 한 번 배달되는 신문은 너무 '느리다'고요. 속도에 집착하는 시대에 느린 매체는 매력이 없다고 말하지요.
혹시 영국의 '가디언'(The Guardian)지를 아시는가요. 지난해 5월 가디언은 특종을 했습니다. 미국 국가안전국(NSA)이 2007년부터 미국뿐 아니라 유럽과 아시아 등 전 세계 국가를 상대로 민간인의 이메일과 페이스북, 통화 내역을 무차별적으로 감청'해킹했다는 내용이었지요. 이 과정에서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페이스북 등 세계적인 업체들이 미국 정부에서 엄청난 경제적 지원을 받고 협조했다는 사실도 파헤쳤습니다. 느린 매체, 신문의 힘입니다.
신문은 단순한 '종이'가 아닙니다. 신문은 곧 뉴스이며, 저널리즘의 총합입니다. 50년, 100년, 세월이 지날수록 종이 형태의 신문은 점차 더 줄어들지도 모르지요. 하지만 정확하게 세상 소식을 전하고, 권력을 비판하는 저널리즘의 필요성은 세상이 복잡해질수록 점점 더 중요해질 것입니다.
4월 7일은 신문의 날입니다. 신문을 읽어야 하는 이유가 조금 무거운 이야기라면, '종이신문 활용법'은 실생활에서 응용할 수 있는 가벼운 글입니다. 또 한국 언론의 역사, 매일신문 주필이었던 고 최석채 선생도 '가상 인터뷰' 코너에서 다시 모셨습니다. 마지막으로, 지면으로 이 글을 접하는 독자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속도 경쟁의 시대에도 여전히 신문으로 뉴스를 접하는 이들이니까요.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
교착 빠진 한미 관세 협상…도요타보다 비싸지는 현대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