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경북 지방선거전 혼탁 과열을 경계해야

6'4 지방선거가 본격화되면서 경북지역의 경우 새누리당 후보 공천 등을 둘러싼 비방 공세와 흑색선전이 난무하며 선거전이 혼탁 과열양상을 더하고 있다. 새누리당의 텃밭으로 공천은 곧 당선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인 경북은 특히 현 단체장이 3선을 포기하거나 기초, 광역의원의 불출마 선언으로 무주공산이 된 지역일수록 후보가 난립하면서 선거판이 더 혼선을 빚고 있다.

전'현직 시장이 팽팽한 접전을 벌이고 있는 지역도 마찬가지이다. 사실 왜곡과 비방 등 네거티브 공세가 일상화되면서 선거전이 얼룩지고 있다. 경쟁 후보를 비방하는 전단이 무더기로 살포되는가 하면, 허위 여론조사 결과까지 떠돌아다니는 등 상대 후보를 흠집 내고 추락시키기 위한 갖가지 악성 루머들이 퍼지면서 흑색선전이 가열되고 있는 것이다.

경선에 영향을 미치려는 일부 정치세력의 계산된 행위가 민심을 분열시키고 표심을 왜곡하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공교롭게도 선거철만 되면 되풀이되는 투서와 진정 그리고 감사원 감사와 결과 발표를 두고 그 의도가 불순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상향식 공천 취지를 앞장서 실행해야 할 현역 국회의원이 지구당위원장의 입김을 앞세워 공천이 확정되지도 않은 특정 예비후보를 노골적으로 지지하는 발언을 하거나, 공천에 직간접적으로 개입하고 있다는 비판과 함께 선거법 논란도 잇따르고 있다. 흑색선전과 금품 살포는 선거를 과열 혼탁하게 하는 가장 큰 주범이다. 정책 대결 속에 유권자들이 제대로 된 후보를 검증할 수 있는 기회를 앗아가는 풀뿌리 민주정치의 공적이다.

선관위와 경찰은 금품 살포 등 명백한 선거법 위반행위에 대해서는 기민하게 대응하되, 부실한 조사과정에서 오히려 유언비어를 양산하거나 민심을 교란하는 결과를 낳아서는 안 된다. 특히 흑색선전은 한번 유포되면 걷잡을 수가 없고 당사자에게 치명상을 입히면서 표심을 흩트리기 때문에, 선거가 끝난 후에도 끝까지 추적해 엄벌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선거의 최종 심판자는 결국 유권자다. 유권자들의 냉철한 판단이 건강한 지방자치를 수호하는 최후의 보루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