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군의 유일한 어선수리소가 가동을 멈춘 지 4개월로 접어들면서 어민들이 애를 태우고 있다. 작은 고장에도 위험을 무릅쓰고 육지로 나가야 할 형편이다.
실제로 지난 1월 28일 울진 후포항을 떠나 울릉도로 오던 울릉선적 어선 B(9.77t) 호가 죽변항 동쪽 약 68㎞ 해상에서 러시아 화물선과 충돌해 침몰되고 선장 겸 선주였던 C(59'울릉읍) 씨가 실종됐다. C씨는 육지에서 선박 수리를 마치고 돌아오던 길이었다.
최근까지 울릉수협으로부터 어선수리소를 위탁받아 운영했던 A업체가 지난해 말 계약만료 후 철수한 뒤 아직까지 울릉수협은 새 업체를 들이지 못했다. 인근 저동2리 주민의 민원 때문이다. 주민들은 어선수리소에서 나오는 FRP가루와 선박폐기물, 소음 등을 문제 삼고 있다.
조선소이전추진위원회가 만들어졌고, 지난해 하반기 이 단체와 주민들은 어선수리소를 이전해 달라는 탄원서를 울릉군과 울릉수협에 전달했다. 최근엔 주민 의견을 묻는 모임을 두 차례 가졌다. 그러나 가동 중단 100여 일이 지나도록 결론을 못 내고 있다.
일부 주민은 이전이 안 될 경우 폐쇄를 요구하고 있지만 대다수 주민 사이에선 없애선 안 된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는 분위기다. 울릉군과 울릉수협도 마찬가지 입장이다.
그러나 정작 관리주체인 울릉수협은 뒷짐만 지고 있다. 울릉수협 관계자는 "주민 의견을 무시할 수 없지 않으냐. 추진위의 결과를 지켜보고 있는 중"이라고 했다. 하지만 이전하는 쪽으로 결론이 나더라도 부지선정, 예산확보, 시설공사 등 최소 5년 이상이 걸려 이 기간에 어선수리소 운영을 중단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어선은 자동차처럼 2년에 한 번씩 정기검사를 받아야 한다. 울릉도엔 봄철에 정기검사를 받아야 할 어선이 많다. 6.63t급 채낚기 어선 선주인 이상문(59'울릉읍) 씨는 "지금 상황이라면 상당수 어선이 가뜩이나 위험한 뱃길에 비용부담까지 감수하면서 정기검사를 위해 육지로 나가야 할 형편"이라고 했다. 육지로 나갈 경우 5t급 어선 기준 기름값은 80만원 선. 일주일 정도 걸린다고 봤을 때 숙박비'식비 등을 더하면 수리비'검사비를 빼고도 한 척당 200만~300만원이 더 든다.
작은 배는 위험 부담도 크다. 울릉군 등록 어선 212척 중에 10t 미만 소형이 전체의 86%인 182척이고, 5t도 채 안 되는 어선이 80척에 달한다. 해상사고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규모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