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무덤 앞에서 울지 말아요
나는 거기에 없어요, 나는 잠들지 않아요
나는 무르익은 곡식을 비추는 햇빛이며,
부드러운 가을비에요
나는 천 개의 바람
천 개의 바람이 되었죠
나는 눈 위에 반짝이는 다이아몬드
나는 천 개의 바람이예요
제발 내 무덤가에서 울지 말아요
나는 거기에 없어요, 죽지 않았어요
나는 하늘을 나는 종달새이며
밤하늘에 빛나는 별이에요
나는 천 개의 바람
천 개의 바람이 되었죠
나는 눈 위에 반짝이는 다이아몬드
나는 천 개의 바람이 되었죠
나는 눈 위에 반짝이는 다이아몬드
나는 천 개의 바람이 되었죠
누가 쓴 시인지도 모르고 전해지다가 1998년 한 칼럼니스트에 의해 1932년 메리 엘리지베스 프라이가 영문으로 쓴 시라는 것이 밝혀졌다. 이후 일본의 작곡가 아라이만이 곡을 붙여 밀리언셀러를 기록했다. 우리나라에선 팝페라 가수 임형주가 이 노래를 세월호 희생자를 위한 헌정곡으로 불렀다. 영문으로 된 시에서 반복되는 두 연을 생략했다. 이 시의 화자는 죽은 사람이다. 이승에서 저승으로 하는 말이 아니라 저승에서 이승으로 하는 말이다. 그래서 더 절실하고 애절하다. 세월호의 영령들이여 천 개의 바람이 되어 우리를 일깨우소서.
시인 kweon51@cho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4대강 재자연화 외친 李 정부…낙동강 보 개방·철거 '빗장' 연다
李대통령, 24일 대구서 타운홀미팅…"다시 도약하는 길 모색"
김현지, 국감 첫날 폰 2번 바꿨다…李 의혹때마다 교체 [영상]
나경원은 언니가 없는데…최혁진 "羅언니가 김충식에 내연녀 소개"
냉부해 논란 탓?…李 대통령 지지율 52.2%로 또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