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새누리당, 형사범을 당 대표로 뽑을 것인가

7월 14일에 열리는 새누리당 전당대회 당 대표 경선이 서청원'김무성 의원의 양강 구도로 잡혔다. 각각 7선, 5선 국회의원인 이 두 사람은 닮은 점이 많다. 두 사람 모두 정치적 뿌리는 김영삼 전 대통령이다. 1980년대 민주화 운동의 상징이던 민주화추진협의회에서 활동했고, 2007년 한나라당의 대통령 후보 당내 경선 때는 박근혜 대통령을 지지한 원조 친박이다. 2008년 이후 행보를 달리하면서 서 의원은 친박 좌장으로, 김 의원은 당내 비주류의 선두주자로 이번 당 대표 경선에서 맞붙는다.

이 두 사람은 다른 공통점도 있다. 윤리적'도덕적으로 치명적인 결함이 있는 인사라는 것이다. 서 의원은 지금도 '차떼기 당'이라고 불리는 2002년 한나라당 불법 선거자금 모금의 주범이었고, 2008년 친박연대 비례대표 의원 시절에는 비례대표직을 사고판 혐의로 의원직을 상실했다. 김 의원도 서 의원에 뒤지지 않는다. 1996년에는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1998년에는 알선수재죄로 두 차례나 형사처벌을 받았다. 이 사례에서 보면, 이들의 범죄 행위는 누구도 결코 저질러서는 안 되는 파렴치한 것이었다.

새누리당은 지난 6'4 지방선거 때 자치단체장과 의원을 공천하면서 '음주운전 처벌 경력'까지도 조사해 공천에서 배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철저하게 바뀐 모습을 보여주겠다고 국민 앞에 약속한 것이었다. 물론, 당 대표가 공직이 아니어서 형사처벌 전력이 있다고 해서 출마하지 못하는 자리는 아니다. 또, 개인이 출마를 고집하면 막을 방법도 없다. 그러나 여당 대표라는 위상과 정치적 영향력을 생각하면 어떤 자리보다 엄격한 기준이 적용돼야 한다는 것은 이론이 없다.

형사범 여당 대표는 박근혜 대통령에게도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현재 박 대통령은 세월호 참사의 수습과 겨우 체면치레한 6'4 지방선거의 결과로 볼 때 어느 때보다 강력한 개혁으로 정국을 타개해야 한다. 이 어려움을 함께 헤쳐나가야 할 여당 대표가 돈으로 공천을 팔고, 업자로부터 뇌물을 받은 인사라면 어떤 국민도 개혁의 진정성을 믿지 않는다. 또한, 치욕적인 '차떼기당'에다 '형사범 대표 당'까지 덧붙이지 않으려면 양 의원은 마땅히 사퇴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