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가 오면 집안은 눅눅한 습기로 가득 차기 마련이다. 벽과 장롱 속에는 곰팡이가 피고 신발장은 악취가 풍긴다. 눅눅하고 습한 공기는 불쾌감을 줄 뿐 아니라 가족 건강에도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장마에 대한 준비만 이뤄진다면 얼마든지 피해갈 수 있다. 주부를 위한 장마철 집 안 관리 방법을 모아봤다.
◆보송보송 집 안 만들기
▷습기 제거=쾌적한 장마철을 나기 위해서는 눅눅한 이불과 옷을 잘 말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습기 제거가 먼저다. 실내에서 빨래를 말려야 할 때는 선풍기나 에어컨을 틀어 말리는 것이 좋다. 습기가 많은 화장실은 반드시 환풍기를 틀거나 창문을 열어 습기를 빼준다. 잠깐씩 난방을 해 집 안 습기를 제거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양초를 켜 두면 습기 제거에 도움이 된다. 양초가 타면서 나쁜 냄새와 습기도 동시에 제거하기 때문에 효과적이다. 또 숯을 바구니에 담아 침실 한쪽에 놔두면 습기 조절과 냄새 제거에 도움이 된다.
▷주방'욕실=주방과 욕실은 세균이 번식하기 쉬워 더욱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싱크대 배수구는 그물망에 찌꺼기가 남아있지 않도록 자주 씻고 수시로 끓는 물을 부어준다. 악취가 심하면 베이킹 소다를 붓고 따뜻한 물을 부어주거나 소다로 그물망을 닦아내면 어느 정도 냄새를 없앨 수 있다. 행주는 매번 삶아 사용한다. 도마와 칼은 쓸 때마다 뜨거운 물로 소독해준다. 욕실은 늘 물기가 많아 곰팡이 번식의 최적지다. 욕실 물기는 닦아주고, 샤워기로 욕실 벽에 뜨거운 물을 뿌려주고 환기시키면 곰팡이가 피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미 곰팡이가 생겼다면 전문 곰팡이 제거제를 사용하거나 베이킹 소다에 물을 섞어 솔로 닦으면 잘 지워진다.
▷옷장'이불장=옷장과 이불장은 곰팡이와 좀벌레가 서식하기 좋은 장소다. 비나 땀이 밴 옷이나 이불은 그대로 옷장에 넣지 말고 바로 세탁하는 것이 좋다. 빨래를 헹굴 때 식초를 조금 넣으면 눅눅한 냄새를 없앨 수 있다. 드라이크리닝을 한 옷은 통풍이 잘 되도록 비닐을 벗겨 보관한다. 또 옷장과 이불장 바닥에 신문지를 여러 장 깔고 옷과 이불 사이에 신문지를 한 장씩 끼워두면 습기를 빨아 들여 곰팡이 방지에 도움이 된다. 일주일에 한 번은 옷장이나 이불장 문을 활짝 열고 선풍기를 틀어 눅눅함을 없애줘야 한다.
▷침구류=이불, 베개 등 침구류는 눅눅해지기 쉽기 때문에 햇볕에 충분히 말려주는 것이 좋다. 사정이 여의치 않다면 전기장판을 이불 밑에 깔고 한두 시간 정도 틀어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특히 침대 매트리스를 깨끗하게 청소해야 한다. 매트리스의 경우 세탁하거나 햇볕에 말리는 것도 쉽지 않은 등 일반인이 관리하기 어려운 반면 몇 개월만 방치해도 많은 먼지가 쌓인다. 집먼지진드기는 그 먼지 속에서 번식하므로 청소 전문가들에게 맡기는 것이 좋다. 침대청소박사 수성지점 우상호 씨는 "침대시트 밑은 먼지와 땀(습도)이 많아 곰팡이와 집진드기 서식지로는 최적의 장소"라며 "볕이 좋을 때 털어주고 6개월에 한 번 정도는 청소 전문업체에 의뢰해 청소를 해줘야 한다"고 했다.
◆전자레인지 활용
전자레인지를 이용해 집 안 속 숨은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물기를 닦은 행주나 타월은 전자레인지를 사용해 말리면 쉽게 마른다. 식품에 함께 포장돼 나오는 실리카겔은 모아뒀다가 악취제거, 습도유지 등 용도로 사용하면 된다. 빨래가 많은 세탁실 빨래통이나 옷장 아래에 깔아둔다. 습기를 먹은 실리카겔은 전자레인지에 말리면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말릴 때는 포장지를 벗겨 그릇에 넣고 전자레인지로 30초 정도 돌린 후 용기에 담아 사용하면 된다. 숯도 효과가 떨어지면 물로 씻어 전자레인지에 말리면 다시 활용할 수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