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수시' 첫걸음은 학생부·모의고사 성적 자세한 분석부터…

2015학년도 수시모집에서는 학생부 위주 전형이 학생부 교과전형과 학생부 종합전형으로 나눠진다. 학생부 교과전형은 교과 성적이 중요하게 다뤄지며, 학생부 종합전형은 비교과를 포함해 서류 및 면접이 중요한 전형 요소로 작용한다. 또한 논술고사 비중이 큰 전형도 있으며, 학생부 비교과를 활용해 학업 성적 외에도 창의력이나 잠재력 등을 반영하는 전형을 도입한 대학들도 다소 늘었다. 따라서 수험생들은 자신에게 유리한 특별전형이 있는지 각 대학의 수시모집 요강을 꼼꼼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수시모집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먼저 학생부와 모의고사 성적을 자세히 분석해야 한다. 수시모집에서는 3학년 1학기 때까지의 학생부 성적이 반영되기 때문에 학생부 성적과 수능 모의고사 성적을 정확하게 분석, 본인의 위치를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으로 대학별 수시모집 요강을 분석해 유리한 전형을 찾는다. 수시모집에서는 대학별로 다양한 전형 요소를 활용하는데 학생부 위주(학생부 교과, 학생부 종합전형)로 선발하는 전형이 있고, 대학별 고사(논술고사 또는 적성고사) 비중이 큰 전형도 있다. 어떤 전형을 선택하느냐에 따라서 준비과정과 방법이 달라지기 때문에 대학별 전형 유형별 요강을 철저하게 분석해야 한다.

대학별 고사 경우 교과 공부와 연계해 준비하는 것이 좋다. 대학별 고사를 준비할 때는 기출문제나 모의고사 문제를 통해 출제 경향을 파악하는 것이 우선이다. 대부분 대학의 논술고사 유형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통합 교과형이다. 출제 경향도 비슷하며, 다소 쉽게 출제될 것으로 보인다.

면접은 기본소양평가와 전공적성평가를 같이 시행하는 대학들이 많다. 전공적성평가에서는 전공과 관련된 교과목 내용을 물어볼 가능성이 크다. 한자가 포함된 지문이나 영어 지문을 주는 경우도 있다. 자연계열 모집 단위에서는 수학이나 과학과 관련된 내용을 주로 물어본다.

마지막으로 수능 최저학력기준과 정시모집을 염두에 두고 수능 공부에도 최선을 다할 필요가 있다. 수시모집에서는 많은 대학들이 수능 성적의 9개 등급을 활용해 최저학력기준을 정하고 있다. 올해는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완화돼 이 때문에 탈락하는 수험생이 전년도보다는 줄어들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의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요구하는 대학도 있기 때문에 수시모집을 준비하는 수험생들도 수능 준비를 소홀히 해선 안 된다.

차상로 송원학원 진학실장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