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주 방폐장 부지 활성단층 없어 안전"

원자력공단 '전문가 검증' 보고…환경단체 주장과 달라 논란 예고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이사장 이종인)은 4일 지역 언론사와 방폐장 현안 간담회를 갖고 방폐장 활성단층, 지하수 오염, 보고서 조작 논란 등에 대해 설명했다. 하지만 환경단체는 원자력환경공단의 설명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어서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공단은 "방폐장 부지 내에는 활성단층이 존재하지 않으며 동굴처분방식은 지하수위 하부에 설치하는 것이 기본개념"이라며 "환경단체가 RQD(암질지수) 조작이라고 몰아세우고 있지만 사일로가 건설되는 하부 RQD는 60~80%로 방폐장 건설에 전혀 문제가 없는 수준"이라고 밝혔다.

정명섭 안전운영본부장은 이날 "방폐장 부지 내에 존재하는 소규모 단층은 이미 2009, 2012년 그 사실을 확인하고 안전하게 설계와 시공을 마쳤다. 진입동굴과 사일로 공사 중 모두 6차례에 걸쳐 국내외 외부 전문기관의 철저한 안전성 검증을 거쳤으며, 경주시의회 주도로 구성된 지역공동협의회 민간검증단 조사에서도 안전성이 확인된 사항"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동굴처분방식은 지하수위 하부에 설치하는 것이 기본 개념으로 지하수가 없는 곳에 방폐장을 설치해야 한다는 주장은 옳지 않다"며 "동굴처분방식을 채택한 핀란드, 스웨덴 방폐장도 지하수위 밑에 있다"고 했다.

한편 지난 6월 말 시공을 끝내고 운영준비를 하고 있는 방폐장 1단계 사업과 관련, 국내 환경단체들은 지속적으로 안전성 논란을 제기하고 있다.

경주환경운동연합 양이원영 에너지기후팀 처장은 "공사과정에서 활동성 단층들이 계속 발견돼 안전성 평가를 다시 해야 하는데도 공학적 방벽이 안전하다며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절차를 되돌리지 않았다"며 "지난 1995년 굴업도가 핵폐기장 부지로 선정한 이후 활성단층 발견만으로도 부지 지정이 취소된 것처럼 활성단층이 4개나 존재하는 경주 방폐장도 부지 지정을 취소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