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도, 영일만항에서 '2014 해양실크로드 탐험대' 출정식

경상북도는 16일 오후 1시 30분 포항 영일만항에서 대한민국 해양의 혼을 깨우고 천 년 전 해양민국 역사 복원을 위한 '2014 해양실크로드 탐험대' 출정식을 개최하고 글로벌 문화융성과 해양시대로의 힘찬 발걸음 내딛었다.

이번 '2014해양실크로드 탐험대 출정식'에는 김관용 경상북도지사, 김영석 해양수산부 차관, 박한일 한국해양대학교 총장, 이강덕 포항시장, 이병석 국회의원, 하산 타헤리안 주한이란 대사 등 국내외 내빈들과 해양실크로드 탐험대원 및 가족 등 1,000여명이 참석했다.

특히, 이날 출정식에는 박근혜 대통령이 "이번 대장정을 통하여 1천년 전 우리 선조들이 꿈꿨던 해양강국의 길이 힘차게 열리고, 우리의 역사와 문화를 세계에 널리 알릴 수 있기를 기대한다"는 성원의 메시지를 전해 그 의미를 더했다.

2014해양실크로드 글로벌 대장정의 핵심사업인 '2014 해양실크로드 탐험대'는 이날 출정식을 시작으로 10월 30일까지 총 45일 동안 9개국 10개항, 22,958km에 이르는 대장정으로 진행된다.

2014 해양실크로드 탐험대의 구성은 도에서 선발한 탐험대 4개팀 22명과 한국해양대학교 학생 등 128명을 포함해 총 150명으로 꾸려졌다.

탐험대장으로는 해양생태학 박사이자 대한민국 해양과학기술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 김웅서 박사를 선임했고, 대학생들로 구성된 청년탐험대는 지난해 육로 구간 청년탐험대장으로 활약한 동국대학교 윤승철 학생(문예창작학과)과 한국해양대학교 장희원 학생(운항학부)이 대장과 부대장으로 활동한다.

탐험대는 바닷길을 통해 세계와 교류한 신라인의 흔적을 따라 한국해양대학교의 동양 최대 실습선 한바다호를 지원받아 경상북도 포항에서 출발해 중국(광저우), 베트남(다낭),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말레이시아(말라카), 미얀마(양곤), 인도(콜카타, 뭄바이), 스리랑카(콜롬보), 오만(무스카트), 이란(반다르압바스, 이스파한)으로 이어지는 바다 실크로드를 탐험하며, 해양민국(海洋民國)의 역사성과 다양성을 찾아 대한민국 정신과 혼을 세계에 알리고, 21세기 新 한류문화를 전파해 나가는 등 세계와 소통·융합해 나가기 위한 다양한 활동들을 펼칠 계획이다.

첫 입항지인 중국 광저우에서는 해양실크로드를 통한 한·중 문화교류와 신라유적 재조명을 주제로 한 국제학술대회(9월 22일)와 해양실크로드 관문 광동성과의 문화교류협력 체결에 이어, 우호협력 상징물(신라금관-모형) 기증식이 해릉도 해양실크로드 박물관에서 개최된다.

특히, 인도에서는 천 년 전 혜초스님의 발자취를 따라 가는 순례길 답사가 진행되고, 비하르주 파트나 인도국립공과대학에는 혜초도서관, 사르나트 녹야원에는 혜초기념비를 설치해 혜초스님의 민족사적 업적과 세계사적 가치를 재조명하는 행사도 진행될 예정이다.

인도구간의 마지막인 뭄바이에서는 혜초스님이 걸어온 길과 新해양실크로드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재조명하는 국제학술대회도 추진할 예정이다.

대장정의 대미를 장식할 이란구간에서는 천 년 전 신라와 페르시아와의 교류를 기념하고 미래의 천년을 여는 실크로드 우호협력 1주년 기념행사와 이란과 한국의 학자들이 참여하는 신라와 페르시아 간 문물교류 역사 재조명 학술세미나 등이 개최될 예정이다.

2014해양실크로드 탐험대는 45일간의 대장정을 통해 탐험구간 내 우리 선조들의 발자취를 답사·체험하고 실크로드를 통한 문명교류의 궤적들을 찾아 기록·연구하여, 수천년 전부터 한국이 실크로드를 통하여 활발한 역사적·문화적·국제적 교류가 있었음을 국내외에 알리는 한편, 동·서 문화의 완성지인 한반도 옛 수도 신라(경북)의 진취적 기상과 찬란한 문화로 新한류의 원류를 재조명 하고, 사진작가, 시인문학가, 역사학자, 대학생 등이 동참하여 각자가 체험한 탐험기록도 발간할 계획이다.

이번 해양실크로드 글로벌 대장정은 천 여년 전 동서 문물교류인 바다 실크로드 재조명을 통해 우수한 韓문화를 국제사회에 알리고 한류를 넘어 문화 산업화를 이끌어 한층 더 업그레이드된 해양강국으로서의 대한민국의 글로벌 이미지를 제고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관용 경상북도지사는 "지난해 육로 실크로드 탐험에 이은 2014 해양실크로드 탐험대는 우리문화의 뿌리와 역사 찾기를 통한 대한민국의 새로운 역사문화와 미래를 창조하는 역사적 사명이다" 고 강조하고, "탐험대원 모두가 역사적 현장을 함께 하는 주역으로서 자긍심을 가지길 희망하며, 문화융성과 해양시대로의 新 실크로드 새로운 천년을 여는 위대한 여정의 안전과 성과를 기원한다" 고 당부했다. 뉴미디어부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