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이 주식이었던 우리에게 논농사는 경제 논리 그 이상이었다. 벼농사에 식량안보라는 절박한 수식어가 붙고 쌀만은 농산물시장 개방에서 예외로 삼아온 동력이기도 하다. 세계무역기구(WTO)가 출범한 이래 20년 동안 관세화 유예 조처를 받았던 쌀시장이 이제는 개방이라는 시대적 대세와 마주하게 되었다. 정부가 쌀 관세율을 513%로 확정해 이달 중 WTO에 통보할 방침이기 때문이다.
정부는 최고 수준의 관세율을 적용해 쌀 농가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은 물론 쌀 농가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대책을 제시하고 있지만, 쌀시장 개방 현실화에 농민들은 불안하다. 당장에는 고율의 관세율이 적용되겠지만, 해외의 여러 나라와 자유무역협정(FTA)이 잇따라 체결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것이 몇 년간이나 지켜질지 의문이다.
결국 값싼 수입쌀이 밀려들어 오면서 논농사가 무너지고 채소'과일 등 대체 작물이 폭증하면서 전반적인 농산물 가격 폭락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이다. 농도(農道)인 경북이 마주하는 쌀시장 개방은 그래서 더 심각할 수밖에 없다. 농민들도 술렁이고 있다. 여기에는 정부의 농정에 대한 불신도 한몫하고 있다.
쌀시장 개방에 따른 정부의 대책을 보면, 농가 소득 안정을 위해 쌀 직불금을 조기 인상하거나 보완 지급하고 수입보장보험을 도입하는 것은 물론 일정 규모 이상의 쌀 전업농과 집단 생산, 관리체계인 들녘경영체를 확대해 각종 지원을 늘린다는 것이다. 하지만 농업인들은 농민을 볼모로 한 시장개방으로 이득을 챙기는 산업이 있으니, 그 일부를 농민에게 돌려주는 FTA 이익공유제를 법제화할 것까지 요구하고 있다.
이 밖에도 쌀에 대한 고율 관세의 지속과 함께 농업자금 금리 인하와 농지매매사업 단가인상 등의 방안도 거론되고 있다. 차제에 농가 피해 최소화를 위한 실질적인 지원책 마련과 함께 정부가 주목해야 할 사안은 10년, 20년을 내다보는 농업정책의 수립이다. 인구 격감과 유휴농지 증가 등 농촌사회 급변에 따른 대응과 더불어 농민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력을 뒷받침하는 일도 중요하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