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고령 쌍림면 대가야 토기 굽던 가마터 발굴

문화재청과 (재)영남문화재연구원이 고령군 쌍림면 송림마을 북편 시굴조사 현장에서 확인한 대가야 토기와 벽돌(塼)을 굽던 가마터와 가마터에서 출토된 벽돌과 토기들. 영남문화재연구원 제공
문화재청과 (재)영남문화재연구원이 고령군 쌍림면 송림마을 북편 시굴조사 현장에서 확인한 대가야 토기와 벽돌(塼)을 굽던 가마터와 가마터에서 출토된 벽돌과 토기들. 영남문화재연구원 제공

고령 쌍림면 송림마을 북편 시굴조사 현장에서 대가야 토기와 벽돌(塼)을 굽던 가마터가 처음으로 확인됐다고 문화재청과 (재)영남문화재연구원이 25일 밝혔다. 긴 타원형 가마터에서는 항아리, 그릇받침, 굽다리접시(高杯) 등 다양한 종류의 토기와 방형, 장방형의 벽돌(塼)들이 발견됐다.

특히 한 겹의 꽃잎이 새겨진 연꽃무늬 벽돌은 고령 고아리 벽화 고분(사적 제165호)의 연화문 벽화 외에 실물 자료로는 처음 확인된 것으로 학술적 가치가 매우 크다.

영남문화재연구원 측은 "지산동 대가야 고분군의 세계유산 등재시 고분군 내에서 출토되는 대가야 토기의 생산지 확인이 가능해져 진정성 확보에도 한 몫할 것"이라고 했다. 고령 전병용 기자 yong126@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