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의 남구 통합정수장 신설 계획을 앞두고 포항지역 환경단체들이 집단 반발하고 나섰다.
포항환경운동연합 등으로 구성된 '포항 상수도 민영화 반대 대책회의'(이하 대책회의)는 최근 발표한 성명서를 통해 "포항시가 민간투자사업으로 정수장 시설을 추진하는 등 상수도 민영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포항시 등에 따르면 통합정수장은 남구 연일읍 중명리를 예정 부지로, 현재 설치 여부에 대한 초기 논의가 진행 중이다. 계획상으로는 하루 9만t을 정수할 수 있으며, 1단계 사업비로 내년까지 1천439억원(공사비 1천185억원)을 투입한다.
이 사업은 민간투자법에 의한 '제안형 민간투자사업(BTO)'으로 추진되고 있다. 건설 및 투자를 포스코건설이 맡아 25년 동안 위탁 관리한 뒤 포항시에 정수장을 기부채납하는 방식이다.
이와 관련, 대책회의는 "테크노파크 2단지 조성사업이 무산될 위기에 처하자 포항시가 포스코건설에 준 특혜라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며 "통합정수장이 민간투자사업으로 진행될 경우, 사실상 상수도 민영화가 이뤄지는 셈이며 수돗물 요금 인상에 따른 시민 부담만 증가시킬 뿐"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대책회의는 또 "포항시의 유수율(정수장에서 생산된 수돗물 중에 수도요금이 부과되는 수량의 비율)은 전국 평균 83.2%, 서울 93.8%에 비해 턱없이 낮은 63.7% 수준이다. 이에 대한 철저한 관리감독과 개량'교체작업이 통합정수장 신설보다 더 시급한 문제"라고 밝혔다.
포항시의 유수율이 낮은 것은 전체 관로길이 2천300㎞ 중 1천215㎞가 20년 이상 된 노후 관로여서 그만큼 새나가는 수돗물양이 많기 때문이다.
이날 성명서 발표와 함께 대책회의는 ▷각계각층이 참여하는 간담회'공청회를 통해 시민 의견 수렴 ▷상수도 민간위탁에 대한 포항시의회의 반대 결의안 채택 ▷유수율을 높이기 위한 노후관 교체사업 우선 실시 등을 촉구했다.
한편 포항시 상수도사업소 관계자는 "통합정수장 사업은 아직 계획 초기 단계일 뿐 아무것도 정해진 것이 없다. 민간투자사업 실시 여부도 민간투자심의위원회를 거쳐 결정해야 한다"면서 "현재 포항시 남구에는 6개의 개별 정수장이 운영되고 있으며 대부분 낡아 언젠가는 반드시 통합정수장이 건설돼야 한다. 주민들이 우려하지 않도록 보다 많은 고민과 의견 수렴을 하겠다"고 했다. 포항 이상원 기자 seagull@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