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게임을 중심으로 게임시장이 급성장하는 중국이 우리나라 게임의 최대 수출 대상국으로 자리를 굳히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베이징지부는 최근 중국게임공작위원회(GPC)의 통계를 인용해 중국의 게임시장 매출액이 2013년 831억7천만 위안(약 14조3천억원)으로 전년보다 38.0%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5년 전인 2008년과 비교하면 4.5배 커진 규모다. 이중 온라인 게임의 매출액은 536억6천만 위안(약 9조2천억원)으로 64.5%를 차지했다.
중국의 게임 이용자는 2008년 6천700만명에서 2013년 4억9천500만명으로 7.4배 늘었다. 특히 지난해 모바일게임 이용자는 3억1천만명으로 전년보다 248.5% 불어났다. 모바일게임 매출액만 112억4천만 위안(약 1조9천억원)으로 246.9% 급증했다.
이처럼 중국 게임산업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면서 우리나라 게임의 진출에도 속도가 붙고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한국 게임산업의 수출액은 2012년 26억4천만 달러로 이중 중국에 대한 수출액이 10억2천만 달러로 12.3% 증가했다.
전체 게임 수출액에서 중국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8년 26.7%로 일본(20.8%)을 처음 제치고 1위를 차지한 뒤 2009년 34.9%, 2010년 37.1%, 2011년 38.2%, 2012년 38.6%로 커졌다. 이런 추세를 볼 때 작년에는 중국 비중이 40%에 이른 것으로 추정된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한류를 기반으로 국내 게임의 중국 수출이 활발하지만 모바일게임시장을 놓고 중국 업체들과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어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병고 기자 cbg@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