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삼척발 反원전 분위기, 영덕으로 확산되나

농어민 단체들 주민 의견 수렴 촉구…군의회도 원전 유치 과정 문제점 짚기로

최근 강원도 삼척시의 원전유치 찬반투표 결과(본지 10일 자 4면 등 보도)가 주민 85%의 반대로 나오자 원전 재논의 청원이 제기된 영덕에서도 반원전 분위기가 확산될 조짐이다.

농어민단체들과 각종 사회단체들이 원전 의견수렴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하고 플래카드를 내거는 등 보다 가시적인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군의회도 나섰다. 원전 문제를 보다 본격적으로 공론화시키기 위해 오는 11월 행정사무감사에서 유치'부지선정 과정에서의 문제점과 전 정권 유력 인사의 부동산투기설 등 각종 문제점을 조목조목 짚어나가기로 했다.

특히 이강석 군의장은 "원전이 들어설 곳은 영덕의 대표적인 자랑거리인 아름다운 해안에 위치해 있어 재정적인 장점보다는 관광도시 영덕의 이미지를 해치는 등 단점이 더 많다"며 "영덕 송이 매출과 영덕대게의 매출만 연간 1천억원 대에 이를 정도인데 원전 유치로 인해 청정 농수산물 매출에 미칠 타격은 과연 어떻게 감당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했다.

영덕군은 이에 따라 간담회'공청회'대토론회 등 다양한 형태를 통해 주민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농어민단체'사회단체들과 접촉을 벌이는 한편 시기를 조율 중이다.

한 사회단체 관계자는 "농어업인들이나 지역 노인들을 중심으로 원전에 대한 불안감이 어느 때보다 높다. 아직 조심스럽기는 하지만 논의의 장이 제대로 마련된다면, 이에 대한 대책을 요구할 것이다. 특히 주민투표 등 전체 군민의 의견수렴을 요구할 방침"이라고 했다.

영덕읍 김모(58) 씨는 "최근 며칠 새 속내를 드러내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영덕은 동서4축 고속도로와 동해대로'동해중부선 등 SOC 사업이 정상적으로 추진되면 발전의 기회가 없는 것이 아니다. 원전이나 화력발전 등에 굳이 매달릴 필요가 있나"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영덕핵발전소유치백지화투쟁위원회와 경주핵안전연대 등 경북 동해안 반핵단체들은 지난주 영덕군청 앞에서 주민 동의 없는 영덕 핵발전소 건설 백지화를 촉구하는 시위를 벌였다. 이어 한국농업경영인 영덕군연합회도 최근 영덕군의회에 "전체 주민들의 의견을 제대로 수렴하지 않았다"며 재논의와 주민투표를 요구하는 청원서를 제출했다.

이처럼 반원전 분위기가 확산되는 상황에 대해 영덕군 관계자는 "투명하고 적법한 절차를 거쳐 군민의 의사를 최대한 반영해 추진할 계획"이라며 원론적인 입장을 밝혔다.

정부는 지난 2012년 9월 강원 삼척과 경북 영덕을 신규 원전 부지로 확정해 두 곳에 건설할 가압경수로형 150만㎾급 원전 8기 가운데 우선 4기를 2024년까지 짓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영덕 김대호 기자 dhkim@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