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치권이 경쟁적으로 군불을 지피고 있는 '반기문 대망론'에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이 분명하게 선을 긋고 나섰다. 반 총장은 5일(한국시각) 사무총장실 명의의 '언론 대응자료'를 내고 "반 총장이 향후 국내정치 관련 관심을 시사하는 듯한 보도에 대해 전혀 아는 바도 없고 사실도 아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런 선 긋기가 정치권의 '반기문 대망론'을 가라앉힐지는 의문이다.
권노갑 새정치민주연합 상임고문은 이달 3일 반 총장의 측근으로부터 차기 대선후보 영입 의사를 타진 받았다고 했다. 이에 앞서 지난달 29일 새누리당 친박계 의원들의 계파모임인 '국가경쟁력포럼' 세미나에서 반 총장의 2017년 대선 출마 가능성을 거론했다.
이렇게 여야가 경쟁적으로 반 총장 '먼저 잡기'에 나서는 이유는 양측 모두 아직 확실한 대선 후보가 없는 사정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유엔 사무총장을 재선한 세계적 유명인사인데다 차기 대선주자 지지도에서 압도적 1위를 보이고 있는 반 총장에 정치권이 관심을 보이는 것은 이해가 가는 측면이 없지 않다.
하지만 지금은 때가 아니다. 박근혜 대통령의 임기가 아직 3년 이상 남아있는데다 공무원연금 개혁, 남북관계 정상화, 경제위기 해소 등 해야 할 일이 산적해 있다. 이런 과제는 하나하나가 여야가 합심해 대처해도 제대로 해결할 수 있을지 의문인 난제들이다. 공무원연금 개혁만 해도 이번에 못하면 가까운 장래에 재앙적 재정파탄이 초래될 것이 확실하다. 이런 상황에서 반기문 띄우기 경쟁은 화급한 국가적 과제를 뒤로 한 정치권을 위한 정치권만의 유희(遊戱)밖에 안 된다.
그럼에도 정치권은 들은 척도 않는다. 정대철 새정치연합 상임고문은 "여전히 반 총장이 대선 후보가 될 가능성은 살아있다"고 했다. 이런 자세는 정당의 존재 이유에 대해 심각한 의문을 제기한다. 그 의문이란 나라와 국민보다 권력 획득만 앞세우는 정당이 과연 필요한가 하는 것이다. 지금은 차기 대선주자 물색이 아니라 발등에 떨어진 국가적 난제 해결에 전력을 쏟아야 할 시점이다. 여야는 무책임하고 경박하기 짝이 없는 '반기문 모시기' 경쟁을 당장 그만둬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
교착 빠진 한미 관세 협상…도요타보다 비싸지는 현대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