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윤회 씨가 박근혜 정부의 '숨은 실세'라는 청와대 문건 유출 사건을 두고 여당 내 기류가 엇갈리고 있다. 이번 논란이 연말 법안 정국에 미칠 파장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점에 공감하면서도 당내 계파에 따라 온도 차가 감지된다.
박근혜 대통령의 참모 역할을 했던 새누리당 국회의원들은 한목소리로 '비선 실세설'을 차단하고 있다. 대통령 정치철학이나 성품상 '2인자'를 만들 수 없는 구조라는 것이다. 또 정 씨가 대통령 주변에 있는 걸 본 적이 없다거나, 아주 오래전에 교류가 끊겼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친박계 김재원 원내 수석부대표(군위의성청송)는 지난 1일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정윤회 씨를 만나본 적이 없다. 또 2007년 대선 후보 경선 검증과정에서 정 씨 관련 사안을 조사하고 관련자를 만났으나 추측성 소문이 사실과 다르다는 것도 확인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이 한나라당 대표 시절 비서실장을 지낸 유승민 의원(대구 동을)은 3일 매일신문과 만나 "2004년 초 당시 박근혜 의원실에 갔다가 정씨로 추정되는 사람이 있는 걸 본 적 있지만, 정식으로 만난 적은 없다"면서 "이른바 '문고리 권력 3인방'이 독자적 권력을 행사할 정도도 아니다"고 했다.
친박계 홍문종 의원도 이날 TV프로그램에 출연해 "정 씨를 알기는 하지만, 10여년 간 본 적이 없다. 진영'이정현 의원도 마찬가지"라고 전했다.
친이계 등 비박 진영에서는 비판적인 목소리가 흘러나온다.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말을 아껴왔지만, 상황에 따라 다른 제스처를 취할 가능성도 있다. 김성태 의원은 4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국가 최고 권력의 의사 결정 판단에 비선이 있다면 이번에 파헤쳐야 한다"면서 "이것은 청와대 공직 기강이 무너진 문제고 상식적으로 이해가 안 된다"고 비판했다. 한 친이계 의원은 "숨은 실세를 가정하지 않고선 도저히 납득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야당이 '사자방'(4대강, 자원외교, 방위산업) 국정조사를 요구하는 등 이명박 정무 사업을 문제 삼는 상황에서 현 정부로 표적을 바꿔 정국 주도권을 잡을 의도가 숨어 있다는 관측이다.
이지현 기자 everyda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