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영덕과 강원도 삼척지역의 원전 반대 주민들이 신규 원자력발전소 백지화를 위해 한데 모였다. 이달 5일 이들 지역 주민들은 '영덕'삼척 신규 핵발전소 유치 백지화 연대회의'(본지 5일 자 4면 보도)를 열었다. 이날 모임에는 영덕 천지원전 추진 이후 처음으로 영덕지역 농어민'사회단체들도 '핵발전소 백지화 투쟁위'와 함께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이날 오후 6시 영덕읍 한국농업경영인 영덕군연합회 사무실에서 열린 연대회의에서는 '핵발전소가 과연 지역발전에 기여하는가'와 '에너지 기본계획에서의 전력 수요 과장' 등에 대한 특강과 함께 우려되는 농어민 피해와 주변지역 사례 등에 대한 활발한 토론이 있었다.
장정욱 일본 마쓰야대 교수는 특강을 통해 "일본 아카타현 핵발전소의 사례를 보면 원전이 들어서면 처음에는 원전 지원금으로 경제 유발 효과가 있는 듯 보이지만 결국 농어업이 쇠퇴하고 지역경제 구조와 재정구조가 원전에 철저히 의존되는 구조로 전락한다"며 "장기적으로 지방세가 감소하고, 인구도 줄어드는 등 결국 원전은 지역을 피폐하게 만든다"고 했다.
김영희 탈핵법률가모임 변호사는 "현재 발표된 에너지기본계획에서 정부는 '전력수요 증가율이 둔화되고 있으며, 서비스부문을 중심으로 에너지 효율이 개선되고 있다'는 에너지경제연구소의 연구를 무시하고 전력 수요를 지나치게 많이 잡고 있다"고 지적했다.
농어민단체 관계자들은 "지금껏 핵발전소 관련 정보가 거의 전무했다. 일단 원전에 대해 충분히 알아야 우리 주장을 펼칠 수 있기에 이번 연대회의에 참여했다"며 "(원전이 있는) 울진지역 농산물들이 영덕 상자에 담겨 판매된다는 설도 있다. 이렇듯 예상되는 피해를 아무런 대책 마련도 없이 그냥 앉아서 지켜볼 수는 없다"고 밝혔다.
장시원 울진군의원은 "울진 주민들은 영덕을 부러워한다. 아직 기회가 있다는 것이다. 영덕군은 일부 과수 농산물의 매출이 500억원에 육박하지만 울진은 같은 품목에서 20분의 1 정도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고리원전 인근에 살다가 암에 걸려 소송 중인 이진섭 씨는 "원전 3㎞ 이내에 살고 있다. 나는 직장암, 아내는 갑상선암, 함께 사는 장모는 위암에 걸렸고, 아들은 발달 장애를 앓고 있다"며 "고리지역의 갑상선암 발병 비율이 다른 지역보다 10배 이상 높다"고 주장했다.
삼척 핵발전소 반대 투쟁위 성원기 공동대표는 "삼척원전 추진 과정에서 전체 주민 의견을 수렴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추진됐기 때문에 이를 바로잡으려고 한다"며 "주민 의견을 무시하면서 정부가 신규 핵발전소 설치를 강행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했다. 영덕 김대호 기자 dhkim@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