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윤회 문건 유출 혐의로 수사를 받던 서울지방경찰청 최모 경위가 스스로 목숨을 끊으면서 정치권이 공방을 이어가고 있다. 야권은 청와대가 최 경위에게 회유를 시도한 것 아니냐는 의문을 제기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14일 국회 운영위 소집을 촉구했다. 국회 상임위 차원에서라도 최 경위 자살로 이어진 문건 유출 파동 진위를 가려야 한다는 입장이다.
새정치연합 김성수 대변인은 "최 경위 유족도 (청와대) 민정 라인의 회유가 있었다고 했다. 한 사람을 죽음으로 내몬 사건의 진상을 파악하고자 회유 시도가 있었는지 분명히 밝혀야 한다"며 "언론 보도에 따르면 최 경위는 체포 전날 민정수석실 파견 경찰관이 (최 경위의 동료인) 한모 경위에게 '혐의를 인정하면 불입건할 수 있다'고 말하는 걸 들었다고 진술했다"고 주장했다.
최 경위는 한 경위에게 "민정비서관실에서 너에게 그런 제의가 들어오면 당연히 흔들리는 것은 나도 마찬가지일 것"이라고 유서에 남겼다. 여기서 '그런 제의'라는 것이 바로 청와대의 회유 시도라고 새정치연합은 판단하고 있다.
같은 당 서영교 원내대변인은 "정윤회 게이트, 십상시 게이트를 넘어 '박씨 일가 게이트'로 가는 것은 아닌지 따져야겠다. 청와대 비선라인은 모든 자료를 국회에 제출하라"고 주장했다.
새누리당은 확대해석 말라고 경고했다. 새누리당 박대출 대변인은 "유서의 내용을 두고 견강부회하거나 왜곡 해석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검찰은 유서에 담긴 모든 내용을 철저하게 분석해 빈틈없는 진실 규명을 해주기를 바란다"며 "최 경위는 문건 유출에 핵심적 역할을 한 것으로 지목됐는데 앞으로 검찰수사가 차질을 빚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나온다"고 논평했다.
청와대는 한 경위 회유를 위한 어떠한 접촉도 없었다고 해명했다. 청와대 민경욱 대변인은 "한 경위를 민정수석실의 그 어느 누구도 접촉한 사실이 없고, 따라서 제안도 없었다"고 밝혔다.
최 경위는 11일 영장실질심사에서 "체포되기 전날인 8일 민정수석실 파견 경찰관이 한 경위에게 '혐의를 인정하면 선처해줄 수 있다'는 취지의 말을 했다고 한 경위로부터 들었다"고 주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서상현 기자 subo8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