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소방안전세 신설 등으로 경북 소방차 시급히 개선해야

경북도내 소방차와 구급차의 현장 출동 속도가 전국에서 가장 느리다는 지적이 여러 차례 있었다. 올해 국정감사와 경북도의회의 행정사무감사에서도 나온 얘기다. 화재 발생 때 소방차의 골든타임 내 도착률이 낮아 화재 초기 진압 기회를 놓치게 되면서 주민의 생명과 재산상의 피해가 그만큼 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경북도 소방차의 현장 도착이 늦은 것은 관할 면적이 넓은데다 도로 사정이 좋지 못한 것도 한 이유였다.

그러나 그 직접적인 원인은 경북도내 각 소방서의 심각한 장비 노후화에 있었다. 심지어 화재 진압이나 구조현장으로 출동 중인 소방'구급차가 고장으로 멈춰서는 일이 매년 10차례에 이른다니, 1~2분을 다투는 긴박한 상황에 이런 어처구니없는 일이 또 어디 있는가. 경북도가 도의회에 제출한 행정사무감사 자료를 본지 기자가 분석한 결과, 도내 소방차량 748대 가운데 129대가 내용연수를 초과한 '노후차량'으로 밝혀졌다.

이는 18%에 이르는 노후율로, 10대 중 2대의 소방차량이 출동 중 언제 어디서 덜컥 서 버릴지 모른다는 것이다. 산불 진압에 필수 장비인 소방헬기도 지난해 여름 물탱크가 고장이 났지만, 예산 반영이 되지 않아 한동안 물탱크 없는 무용지물 소방헬기로 지냈다고 한다. 이렇듯 불을 꺼야 할 소방차가 '강 건너 불구경'을 하는 신세인데도 경북도는 주민 안전을 위한 재정투입은 뒷전인 채 선거공약과 전시행정에만 예산을 집중하고 있다는 게 도의회의 질타이다.

틀린 얘기가 아니다. 이렇게 낡고 고장 난 소방시설과 장비로는 화재 등 긴급한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없어 지역민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는 것은 불문가지이다. 관건은 근본적인 예산 확보에 따른 장비개선과 소방인력 확충이었다.

정부의 담뱃값 인상과 관련 전국 시'도지사협의회가 부족한 소방재정 확충을 위한 소방안전세 신설을 적극적으로 주장한 것도 그 때문이었다. 정부의 이번 소방안전세 신설에 따른 소방재원 증가와 예산의 효율적인 투입이 안전한 경북을 위한 실질적인 조치로 이어지면서 '소방차 출동 속도 꼴찌'라는 불명예를 씻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