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내 소방차와 구급차의 현장 출동 속도가 전국에서 가장 느리다는 지적이 여러 차례 있었다. 올해 국정감사와 경북도의회의 행정사무감사에서도 나온 얘기다. 화재 발생 때 소방차의 골든타임 내 도착률이 낮아 화재 초기 진압 기회를 놓치게 되면서 주민의 생명과 재산상의 피해가 그만큼 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경북도 소방차의 현장 도착이 늦은 것은 관할 면적이 넓은데다 도로 사정이 좋지 못한 것도 한 이유였다.
그러나 그 직접적인 원인은 경북도내 각 소방서의 심각한 장비 노후화에 있었다. 심지어 화재 진압이나 구조현장으로 출동 중인 소방'구급차가 고장으로 멈춰서는 일이 매년 10차례에 이른다니, 1~2분을 다투는 긴박한 상황에 이런 어처구니없는 일이 또 어디 있는가. 경북도가 도의회에 제출한 행정사무감사 자료를 본지 기자가 분석한 결과, 도내 소방차량 748대 가운데 129대가 내용연수를 초과한 '노후차량'으로 밝혀졌다.
이는 18%에 이르는 노후율로, 10대 중 2대의 소방차량이 출동 중 언제 어디서 덜컥 서 버릴지 모른다는 것이다. 산불 진압에 필수 장비인 소방헬기도 지난해 여름 물탱크가 고장이 났지만, 예산 반영이 되지 않아 한동안 물탱크 없는 무용지물 소방헬기로 지냈다고 한다. 이렇듯 불을 꺼야 할 소방차가 '강 건너 불구경'을 하는 신세인데도 경북도는 주민 안전을 위한 재정투입은 뒷전인 채 선거공약과 전시행정에만 예산을 집중하고 있다는 게 도의회의 질타이다.
틀린 얘기가 아니다. 이렇게 낡고 고장 난 소방시설과 장비로는 화재 등 긴급한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없어 지역민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는 것은 불문가지이다. 관건은 근본적인 예산 확보에 따른 장비개선과 소방인력 확충이었다.
정부의 담뱃값 인상과 관련 전국 시'도지사협의회가 부족한 소방재정 확충을 위한 소방안전세 신설을 적극적으로 주장한 것도 그 때문이었다. 정부의 이번 소방안전세 신설에 따른 소방재원 증가와 예산의 효율적인 투입이 안전한 경북을 위한 실질적인 조치로 이어지면서 '소방차 출동 속도 꼴찌'라는 불명예를 씻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