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로부터 청와대 문건 유출 의혹을 받아 구속영장이 청구됐다 기각된 최모 경위가 자살을 택했다. 최 경위가 스스로 목숨을 끊자 검찰은 "고인의 명복을 빈다"면서도 "수사과정에서 어떠한 강압행위나 위법한 일은 없었다"고 발을 뺐다.
최 경위의 죽음을 대하는 검찰의 반응은 늘 그렇듯 익숙하다.
유족들이 검찰의 말을 곧이곧대로 듣지 않는 것도 여느 사건과 마찬가지다. 최 경위는 자신의 죽음에 대해 14장의 유서를 남겼다. '가족에게 미안하다'는 내용이 주를 이뤘지만 청와대 문건 유출 혐의를 뒤집어쓴 데 대한 억울함과, 함께 영장이 청구됐다 기각됐던 동료 경찰에 대한 위로의 글이 더 큰 울림을 남긴다. 최 경위의 형은 "동생이 얼마 전 전화에서 (검찰 수사는)'퍼즐 맞추기'라고 했다"며 "자기네가 한 일이 아닌데 누명을 뒤집어씌우니까 죽음으로 간 것"이라고 못박았다. 마지막 통화에선 "(검찰이 청구한)구속영장이 기각된 이유를 생각해 보라고 했다"고 강조했다.
법원 영장 전담 판사는 "범죄혐의의 소명 정도 등에 비춰볼 때 현 단계에서 구속 사유와 필요성을 인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법원은 구속영장을 기각할 때 대개 '증거인멸이나 도주의 우려가 없다'는 사유를 내세운다. 하지만 이번 검찰이 청구한 영장에 대한 기각 사유는 사뭇 다르다. 법원은 두 경찰관이 받고 있는 범죄혐의가 과연 인신을 구속할 요건이 되는지에 주목했다. 영장이 기각돼 검찰의 손에서 풀려난 최 경위는 검찰이 재영장 청구를 고민하는 사이 '억울하다'며 죽음의 길을 갔다.
자살이 개인의 일탈행위인 것은 분명하다. 죽어야 할 이유보다는 살아야 할 이유가 더 많기 때문에 어떤 이유에서건 자살이란 행위는 받아들이기 어렵다. 그렇지만 자살은 그 사회가 속한 부조리와 고통의 산물이기도 하다. 삶이 견디기 힘들 정도로 고통스러울 때 우리 사회가 이를 보듬어주기는커녕 도리어 죽음으로 내몬다면 이는 자살이 아닌 살인이나 다를 바 없다. '정윤회 문건'과 관련된 최 경위의 죽음에서 그런 냄새가 난다.
최 경위는 죽음으로라도 진실을 알리고자 했었을 텐데 검찰에 따르면 최 경위는 죽어야 할 아무런 이유도 없었다. 검찰이 수사 결과를 내놓았을 때 국민들은 어느 편에 설까 궁금하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