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원전해체기술연구센터 조성 경북이 최적지이다

경북이 국내 최대의 원자력발전소 집적지역이라는데 이의를 제기할 사람은 없다. 국내 가동 원전 23기 중 11기가 경북 동해안에 밀집되어 있다. 울진에 6기, 경주에 5기의 원전을 가동하고 있고, 앞으로 울진'영덕'경주에 모두 9기의 원전을 더 건설 중이거나 계획하고 있다. 더구나 모든 지역에서 꺼렸던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까지 수용했다.

이렇게 원전과 방폐장 등 정부의 원전 국책사업을 너끈히 수용한 것은 국가와 더불어 지역발전의 염원 때문이었다. 그러나 방폐장을 받아들인 경주만 보더라도 정부가 약속한 지원사업 이행률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한국수력원자력 본사 이전에 따른 지역 내 갈등만 파생시켰다. 이러니 원전에 대한 경북의 민심이 호의적일 수가 없다.

그야말로 '핵 쓰레기장을 다 떠안은 경북에 정부가 해준 게 무엇이냐'는 격한 반문까지 등장한 판국이다. 영덕에는 원전 백지화의 목소리마저 높아지고 있다. 이것만으로도 정부가 추진 중인 원자력해체기술종합연구센터(원해연)가 경북으로 와야 할 명분으로 부족하지 않다. 게다가 원전 설계를 담당하는 한국전력기술(김천)과 원전 운영기관인 한수원 본사(경주), 국내 유일의 중'저준위 방폐장이 경북에 있는 것도 그 당위성을 더하고 있다. 또한 포스텍, 동국대, 위덕대, 경북대 등과 함께 우수한 산'학'연'관 협력체계 구축이 이미 완성된 상태이다. 경북은 방폐장 등 원자력시설 해체 핵심 기반 기술 인프라가 다른 유치지역보다 잘 갖춰져 있는 것이다.

경북도의회 원자력안전특별위원회가 '원해연 경북도 유치 촉구 결의안'을 채택한 가운데, 경주에서도 원해연 유치위원회가 결성되어 시민 22만여 명의 '원해연 경주건립 촉구' 서명지를 정부 관련부처에 전달했다. 경북이 '원해연' 유치에 이렇게 적극적인 이유는 동해안 원자력클러스터 조성의 추진동력이 여기에 달렸다는 공동 인식 때문이다. 원자력 분야의 최대 블루오션으로 꼽히는 원자력해체기술종합연구센터는 그동안 국가 에너지 정책에 순응하고서도 박탈감과 불신감만 떠안고 살아온 민심을 추스르기 위해서라도 경북으로 와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