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인하로 금융 소비자의 머릿속이 새해부터 복잡해지고 있다. 저축으로 자산을 축적할 수 있는 가능성이 줄어든 젊은 층과 노후자금 마련에 사활을 건 중년층도 답답하기는 마찬가지지만 당장 연금 및 이자소득으로 생계를 잇는 은퇴자들은 직접 타격이 불가피하다.
이자소득 계층이 1억원을 2%짜리 정기예금에 넣어둘 경우 한 해 이자는 200만원으로 매월 받는 돈은 고작 16만6천원 수준이다. 여기에 이자소득세까지 빼면 주머니에 남는 돈은 더 줄어든다. 이제는 은행 예금금리 1%대가 현실로 다가왔다.
그러나 조금만 발품을 들인다면 '알짜' 금융상품을 만날 수 있다. 은행들도 잇따라 수익률이 높은 초저금리 맞춤형 상품을 내놓고 있다. 시중은행들은 3%대의 금리 상품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대구은행은 연 4.0% 정기예금 상품을 내놓아 인기를 끌었다. 경북지방우정청도 서민 목돈 마련을 위해 최고 금리 연 7.9%의 '우체국 행복가득 희망적금'을 출시했다. 특히 스마트폰 전용 예적금은 눈여겨볼 만하다. 은행들은 스마트폰으로만 가입할 수 있는 예적금을 연 3%대 금리로 취급하고 있다. 대구은행은 '스마트 검지적금'을 판매 중이다. 금리는 연 2.47%다. 예금자보호를 적용받는 5천만원 한도 내에서 저축은행, 새마을금고, 신협 등 제2금융권도 훌륭한 대안이다. 대구 지역에 기반을 둔 유니온저축은행은 지난해 연말 150억원 한정으로 연리 3.35%의 특판 정기예금 상품을 출시한 바 있다. 청운신협 관계자는 "최근 저금리 기조로 시중 은행권의 1% 금리대의 정기예금 상품까지 나오는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제2금융권이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했다.
최창희 기자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