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세종시 통신] 정치적 구호로 이룰 수 없는 지역 발전

국내 유일한 행정복합도시인 세종시가 지난해 말 중요한 실수를 범하고 말았다. 정부에 제출하는 신년 계획서를 통해 도시 건설 완성 직후 인구 계획을 80만 명으로 부풀려 잡은 것이다.

2030년까지 30조원을 쏟아부어 주택 20여 만 호, 인구 50만 명 도시를 건설한다는 기존 정부안보다 무려 30만 명을 '뻥튀기'한 계획안의 진성성은 의심을 살 수밖에 없었다. 뻥튀기 인구 추계에 대한 통계도 자세히 살펴보면 조잡하기 이를 데 없다. 이에 따라 세종시 건설을 담당하는 행복도시건설청이나 관련 부처인 국토교통부는 서둘러 인구 80만 명의 근거 없음을 강조하며 해명에 진땀을 흘렸다.

세종시는 같은 기간 자숙의 시간을 갖기는커녕 세종청사 인근에 고속철도 역사 건축의 필요성을 역설하며 같은 실수를 저질렀다. 거주 공무원들의 편의를 위한다는게 목적이었으나 인근 지역들도 반발하고 나섰다. 세종시 건설을 염두에 두고 건설한 오송역과 역할이 중복되는 한편 대전역'충주역의 역할 축소가 불가피해지기 때문이다. 대전시장과 충북도지사의 반대 목소리는 불보듯 뻔했고 세종시는 다시 한 번 머쓱해졌다.

이제 고작 인구 10만 명을 조금 넘어선 세종시에 사는 주민들은 양적 팽창보다, 수도권 생활을 버리고 허허벌판과 다름없는 세종시로 이주한 주민들의 정주여건을 개선하는데 역점을 뒀으면 하는 바람이다. 가족과 이사한 한 공무원은 "대형마트 하나 없어 2년 동안 대전이나 조치원으로 가야하고, 수영장 하나 없어 체육활동은 꿈도 꾸지 못한다"며 "그나마 몇 개 안되는 식당은 저녁 9시만 되면 문을 닫아 10시 넘어서는 아파트 전체가 거대한 감옥과 같다"고 푸념이다.

세종시가 이같이 안팎으로 쏟아지는 비판의 목소리를 뒤로 하고 검증되지 않은 청사진만을 제시하는 이유는 신생도시로서 뚜렷한 정체성을 갖지 못했기 때문이다. 일단 부풀려 놓고 민심을 회유하자는 안일한 행정이 숨어 있다는 분석이다.

사정은 조금 다르지만 대구경북은 세종시 사례에서 배울 것은 배워야 한다. 1조원 예산시대를 넘어선 지역이 양적 팽창으로만으로는 주민들의 삶의 근본적인 변화는 이끌어 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런 차원에서 대구시가 구상하고 있는 '데이터 거래소' 건립 계획은 중앙에서도 관심을 쏟고 있는 매력적인 미래 먹거리산업이다. '빅 데이터'를 중개하고 매매를 가능케 하는 거래소를 대구에 들여올 경우 관련 인력을 지역에 유입하는 한편 지역에서 관련 전문가들을 대거 양성할 수 있다는데 의미가 크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