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29일 자 이 칼럼에서는 역설법을 이야기하면서 이런 말을 했었다. "연말 정산 준비를 하다 보니 올해 소득 공제 원칙은 한마디로 '서민 증세는 안 하지만 세금은 더 내라'는 것이다. 거기다가 '출산은 장려하지만 6세 이하, 출산'입양, 다자녀 추가 공제는 폐지하겠다'고도 한다." 새해가 돼 실제로 연말 정산을 해 보면서 직장인들은 증가한 세금 부담 때문에 분노를 하기 시작했다.
사실 소득 공제를 세액 공제로 바꾸겠다는 것 자체가 엄밀하게 말하면 증세이다. 소득 공제를 세액 공제로 바꾸면 소득에는 변화가 없다 하더라도 과표 구간이 올라가 6% 내던 사람이 15% 내게 되고, 15% 내던 사람이 24%를 내게 된다. 몇만원 더 벌었다가 몇백만원 세금을 더 내야 하는 사람이 수두룩하고, 15% 세율을 적용받는 과표 기준 1천200만~4천600만원의 지극히 평범한 사람들도 일부 항목들은 12% 기준으로 세액 공제를 받으니 결과적으로 더 내는 것이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계속해서 서민 증세가 아니라고 이야기를 한다. 일반 국민들의 정서와 정부의 이야기가 왜 이렇게 동떨어져 있나를 살펴보니 '서민'이라는 말의 의미를 어떻게 규정하느냐에 큰 차이가 있었다.
'서민'(庶民)의 사전적 정의를 보면 '아무 벼슬이나 신분적 특권을 갖지 못한 일반 사람. 경제적으로 중류 이하의 넉넉지 못한 생활을 하는 사람'으로 되어 있다. 이 정의에 의하면 서민은 한마디로 '갑으로서의 특권을 누릴 수 없는 사회적 위치에 있는 사람'이며, '과표 기준 1천200만원 이하의 경제 능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수학적으로 '중류 이하'라고 하면 중류도 포함되겠지만 일상적으로 '중류 이하'라고 하면 중류의 최하점부터 아래의 범위를 나타낸다) 서민을 그렇게 정의하면 정부의 정책은 담뱃값 올린 것을 빼고는 크게 증세라고 할 만한 것이 없을 수도 있다.
그런데 일반 국민들이 사용하는 '서민'이라는 말은 특권층이나 부자에 대칭되는 개념이다. '일반 국민' '대중', 그리고 6공화국에서 사용한 '보통 사람들'과 같은 말을 모두 '서민'과 비슷한 개념으로 인식하는 것도 그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 국민들이 생각하는 서민은 전통적인 서민의 개념에 '중산층'을 합친 개념이다. 중산층은 안정된 생활을 하고 있지만, 한 방에 나락으로 떨어질 수 있는 사람들, 먹고살 만은 하지만 돈 걱정을 항상 하는 사람들이다. 물건을 살 때 브랜드보다는 가격을 먼저 보고, 드라마에서 남자 주인공이 여자 친구를 위해 놀이공원을 빌려서 이벤트를 하는 것을 보고, "저 미친놈. 저 돈이면……." 하고 분개하는 사람들이다.
사전을 보면 '중산층은 언제나 서민 세계에 대한 애정보다는 상류 계층에 대한 환상적 동경 속에서 살아간다'(이청준, 중에서), '탱자나무는 대부분 서민 집들의 앞 울타리 노릇을 했고, 대나무는 뒤 울타리 노릇을 했다'(조정래, 중에서)와 같은 예문이 나온다. 이 예문들을 보면 중산층과 서민은 구분이 되는 개념이었다. 앞의 예문을 보면 중산층은 상류계급과 서민 사이에 존재하는 일종의 계급이었다. 그러나 옛날에는 너나 할 것 없이 못살다 보니 전 국민의 80%가 서민에 해당될 정도였다. 그러나 경제가 발전하고 복지가 확대되면서 중산층의 비율은 사회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늘어났다.(자본주의가 마르크스의 예언처럼 망하지 않고 유지되는 이유는 바로 중산층의 존재 때문이다) 한자 '서'(庶)가 '보통, 평범함'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을 생각한다면 오늘날의 '서민'은 우리 사회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중산층을 의미한다고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이제라도 정부는 서민 증세가 아니라고 하기보다는 중산층 증세를 하고 있음을 실토하고, 부자들에게 더 많이 세금을 걷겠다는 약속을 하는 것이 옳은 길일 듯싶다.
능인고 교사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