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진 교권에 고된 업무까지 더해져 교사 된 것을 후회하는 교사들이 많아졌다. 수치는 역시나 OECD 1위였다.
양정호 성균관대 교육학과 교수가 OECD의 '2013년 교수·학습 국제 조사(TALIS·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2013)'를 바탕으로 회원국 중학교 교사 10만 5000여 명을 분석한 결과 교사가 된 것을 후회한다는 교사 비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34개국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결과는 교사 된 것 후회한다는 교사 비율은 한국이 20.1%로 가장 높은 수치를 차지했다.
회원국 평균(9.5%)을 크게 웃돈다. '다시 직업을 택한다면 교사가 되고 싶지 않다'는 응답자 비율에서도 한국은 36.6%로 회원국 평균(22.4%)보다 높게 집계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교육부·교육청·교장 등 수직으로 이어지는 교육계의 경직된 문화가 '우수 자원'인 교사를 무기력하게 만든다는 지적도 나온다.
황금중 연세대 교육학과 교수는 "교육부 등 상급 기관으로부터 지시가 내려오는 관료적인 교직문화 때문에 교사들이 행정 업무에 맞춘 낭비성 일을 많이 한다. 그러다 보면 스승으로서의 의미를 찾기 힘들어진다"고 우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서울 동작구 B중 1학년 담임인 이모(53) 교사는 수업 준비보다 행정 업무 처리에 더 많은 시간을 쓴다. 그는 "학기가 시작되면 행사만 10개 넘게 준비해야 하는데 벌써부터 부담"이라며 "교육청에서 내려오는 공문을 처리하고 회의에 참석하다 보면 '왜 교사가 됐는지' 자괴감이 든다"고 털어놓기도 했다.
또, 서울 P중 남모(33·여) 교사도 "교사들도 수업보다 행정 업무를 잘 처리해야 승진에 유리한 분위기"라고 언급해 본연의 임무과 별도의 업무사이에서 교사들의 사기는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안타까움을 주고 있다.
이에 누리꾼들은 "교사 된 것 후회, 안타깝다" "교사 된 것 후회, 교권 추락이 심각하다" "교사 된 것 후회, 어떡하나"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한편, 교사에 대한 폭력과 협박 사례는 2006년 7건에서 2010년 146건으로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뉴미디어부 maeil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