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취업시장 전망이 밝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력이 충분하다'는 기업이 많아지면서 취업문이 좁아진데다 구직단념자도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2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초 우리나라의 인력사정지수는 94로 5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전국 2천800여 개 법인 기업을 대상으로 체감경기 동향을 파악해 지수화한 지표로 인력 과잉으로 응답한 업체 수에서 인력 부족으로 응답한 업체 수를 뺀 뒤 100을 더해서 구한다. 따라서 현재 인력이 충분하다고 생각하는 기업이 많고, 인력 충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기업이 적을수록 수치가 커진다. 이 지수는 경기 상승기에 하락하고 경기 하락기에 상승한다.
세계 금융위기 직후인 2008년 말 105까지 치솟은 뒤 2009년 5월 두 자릿수 대로 내려앉았다. 2009년 말에는 94를 나타낸 뒤 2013년 4월 88까지 떨어졌다. 작년에는 내내 90선 초반에서 움직이다 해가 바뀌자마자 94로 뛰어올랐다.
지난달 일자리를 구하기가 너무 힘들어 취업을 포기한 '구직단념자'가 50만 명에 육박했다.(표 참조) 역대 최고 수준이다. 같은 날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구직단념자는 49만2천 명에 달했다. 1년 전에 비해 두 배가 넘는 25만5천 명이나 증가해 역대 최고기록을 갈아치웠다. 일자리 구하기가 갈수록 어려워지면서 아예 취업 자체를 포기하는 청년층이 급증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구직단념자는 비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을 희망하고 지난 1년 내 구직 경험이 있지만, 노동시장적인 이유로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사람이다. 지난해 5월 처음 40만 명대로 올라선 뒤부터는 9개월 연속 40만 명대를 기록 중이다.
최창희 기자 cchee@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