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장 1년을 앞둔 대구 새 야구장 운영권을 둘러싼 특혜 논란이 숙지지 않고 있다. 2013년 초 대구시가 삼성과 체결한 '대구 야구장 사용 및 수익허가 계약'이 지나치게 삼성에 유리한 조건이라는 비판 여론이 높아서다. 프로야구 발전이라는 대승적 차원에서 이해하고 넘어갈 수 있지만 대구시가 멍석만 깔고 운영 수익에는 전혀 권리가 없는 현 구조는 재검토가 필요한 부분이다.
연고 지자체가 부지를 제공하는 대신 구단이 건설비와 운영, 시설투자를 하는 게 요즘 국제 스포츠계의 추세다. 2009년 신축한 뉴욕 양키스타디움의 경우 양키스 구단이 건설비 15억달러를 부담하고 뉴욕시는 토지사용료로 연간 10달러(40년 400달러)만 받는 등 구단을 배려하고 있다. 반면 시장 규모가 작고 매년 적자를 기록하는 국내 구단의 경우 광고권마저 지자체가 갖고 있어 구단이 수익사업을 통한 홀로서기나 장기 투자가 쉽지 않은 구조다. 프로 스포츠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일정 운영 수익권 보장을 마냥 외면할 수 없는 실정이다.
삼성은 새 야구장 건설비 1천666억원 중 500억원을 사용료로 선납하는 대신 2016년부터 25년간 야구장 총괄 운영권을 보장받았다. 현 시민야구장과 달리 광고권도 삼성이 갖고 입장료 수입, 장내 상업시설 임대료, 주차장 수익, 야구장 명칭 사용권 등 대부분의 권리가 삼성 몫이라는 점에서 시가 '삼성 편중' 계약을 한 것은 부인할 수 없다.
물론 삼성은 유지'관리 등 운영비나 각종 공공요금'부과금을 부담하고, 연 3억원의 체육발전 기부금도 내야 한다. 성과 분석을 통한 허가 내용 조정 조항도 있다. 이런 점을 들어 대구시는 특혜가 아니라는 입장이고, 감사원도 광주시와 달리 대구 구장에 대해서는 지적하지 않았다. 그러나 크게 양보하더라도 세금으로 지은 야구장 운영 수익 등 혜택이 시민이 아닌 기업이 독차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대구시는 계약서에 명시한 대로 충분히 경과를 봐가며 적정 운영 수익권에 대해 협의'재조정해야 한다. 삼성 또한 기업 이미지 등을 고려해 대구 야구 발전과 지역사회 기여도를 높여 서로 윈윈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