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빼앗긴 나라를 되찾기 위해 정든 고향 등지고 머나먼 만주벌판으로 떠나다!'
1910년 일제에 나라를 빼앗긴 경술국치(庚戌國恥) 직후 독립운동을 위해 만주로 망명길에 오른 항일 도만(渡滿) 행렬이 광복 70주년을 맞아 100여 년 만에 처음 재현된다.
안동문화원이 주최하고 (사)문화동인이 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28일 오후 4시부터 안동시 정상동 예미정 별채에서 열린다. '신흥무관학교 최후의 1인'으로 기록된 항일순국지사 추산 권기일(1886~1920) 선생의 가족들이 1912년 3월 2일 항일투쟁을 위해 역사적인 만주 망명길에 오른 행렬과 모습을 복원, 처절했던 당시 모습을 퍼포먼스 형태로 재현하게 된다.
이번 행사는 먼저 추산 선생을 추념하는 시 낭송과 신흥무관학교 교가 제창을 시작으로, 추산의 독립운동에 대한 회고가 이어진다. 2부에선 추산이 조부인 권헌봉에게 하직 인사를 한 후 노모와 부인, 동생 가족 등 식솔들과 함께 소달구지에 이삿짐을 싣고 종갓집을 나서는 장면을 상황극으로 꾸몄다. 친일파들에 의해 '만주보따리'로 비하되기도 한 이 도만 이삿짐은 소달구지 2대에 그릇궤, 반닫이, 삼층장 등 가구, 궤짝과 이불, 가마솥, 돗자리 등 당시 사대부집 가재도구와 함께 만주에서 황무지를 일굴 때 쓸 곡괭이, 삽, 쟁기, 호미 등 농기구로 꾸려졌다.
소달구지에 실린 이삿짐에서 당시 넉넉한 생활을 해 온 사대부 집안의 종손이 항일투쟁을 위해 망명길에 오르면서, 대대로 지켜오던 천석지기 종중 재산을 처분하고 직접 농사짓는 일도 불사하겠다는 처절한 마음가짐을 엿볼 수 있게 한다.
이날 행사에는 정상동 마을 주민 200여 명과 하회별신굿탈놀이보존회원, 문화동인 회원 40명 등 모두 250여 명이 참가해 태극기를 흔들고 대한독립만세를 외칠 예정이다.
100여 년 전 추산 선생은 구미 해평지역으로 이사 간다며 일본 경찰의 감시를 따돌리고 소달구지로 안동을 떠난 뒤 김천에서 열차를 갈아타고 신의주를 거쳐 만주 서간도 지역으로 들어갔다. 그곳에서 석주 이상룡(1858~1932) 선생과 합류해 본격적인 항일투쟁에 나섰다.
경술국치 당시 안동에선 백하 김대락(1845~1915)을 시작으로 일송 김동삼(1878~1932), 동산 류인식(1865~1928) 등 명문 거족들은 물론 서민들의 항일 투쟁의 도만 행렬까지 60여 차례 있었다. 당시 서간도 지역에 거주하게 된 안동사람들은 100여 가구, 1천여 명에 이른다.
추산 선생의 손자 대곡문중 종손 권대용(67) 씨는 "100년 전 대대로 살던 종갓집을 비우고 이국만리 만주 독립운동에 나선 할아버지의 기막힌 심정이 그대로 와 닿아 가슴이 찢어지는 듯하다"며 "이번 행사를 통해 자라나는 세대들이 악독했던 일본의 만행을 잊지 않고 호국충절의 정신을 다시 한 번 가다듬기를 바란다"고 했다.
안동 권동순 기자 pinok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