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임산부 참치캔 일주일에 400g 먹어도 돼"

메틸 수은 함량 일반 어류와 같아…심해성 어류는 100g 이하가 적당

임산부는 1주일에 참치캔 400g까지는 먹어도 된다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의 권고가 나왔다. 그동안 참치캔에는 중금속인 메틸수은이 포함됐다는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식약처는 최근 전국 보건소와 산후조리원 등에 보낸 '임신 여성의 생선 안전섭취 요령' 책자를 통해 "일반어류와 참치통조림만을 먹는 경우 400g 이하가 적당하다"고 밝혔다. 일반어류는 고등어, 명태, 광어, 꽁치, 조기, 갈치, 삼치, 전어, 참치통조림 등이 포함된다.

참치통조림이 일반어류에 포함된 이유는 통조림용 가다랑어는 횟감용 참치와 달리 2~4년생으로 수면 위에서 활동하는 고등어만 한 크기이기 때문이다. 반면 횟감용으로 사용되는 참다랑어는 심해성 어류로 크기가 크고 오래 살아 메틸수은이 가다랑어보다 높게 축적된다. 따라서 1주일에 다랑어류와 새치류, 상어, 먹장어, 다금바리 등 심해성 어류를 먹는 경우에는 100g 이하가 적당하다.

식약처에 따르면 생선 내의 메틸수은 평균함량은 참치통조림은 평균 0.03㎍/g으로 고등어나 갈치 등 일반어류와 같았다. 이는 다랑어류(평균함량 0.21㎍/g), 상어류(0.21㎍/g), 새치류(0.28㎍/g) 등보다 훨씬 적은 수치다. 다만 이들 모두 메틸수은 기준인 1.0㎍/g보다는 낮았다.

앞서 지난해 6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건강 권고안을 내고 "임신부와 수유 중 여성, 어린이들에 대해 수은 함량이 낮은 새우나 연어, 메기, 대구, 참치통조림 등 생선 227~340g을 매주 2, 3번 나눠 먹는 게 좋다"고 밝힌 바 있다.

메틸수은은 중금속의 일종이다. 생물 농축에 의해 인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마늘이나 양파, 파, 미역 등은 체내에 있는 수은을 배출하는 데 도움이 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