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30개 공공기관의 신규 채용에서 3천 명 정도가 국가가 만든 표준에 기반한 직무중심 면접을 거쳐 채용된다. 정부는 24일 서울지방조달청에서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130개 공공기관과 '직무능력중심 채용 MOU 체결식'을 가졌다.
130개 공공기관이 정부가 만든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기반한 채용 모델을 적극 도입하거나 확대하기로 약속한 자리다. 채용 시 직무에 필요한 능력을 집중적으로 고려해 취업준비생의 과도한 스펙쌓기 부담을 줄이고, 공공기관도 해당 직무에 맞는 인재를 채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산업인력공단 등 30개 공공기관은 NCS에 기반한 채용 모델을 이미 도입해 상반기부터 서류 및 면접 전형에 반영할 예정이다. 한국전력공사와 도로공사 등 100개 공공기관도 상반기에 실시하는 컨설팅을 기반으로 하반기에 NCS에 기반한 서류 및 면접 전형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올해는 전체 공공기관의 신규 채용 인원 1만7천 명 중 NCS에 기반한 서류 및 면접 전형으로 채용될 인원은 3천 명에 달할 전망이다. 서류 전형에서는 직무 관련성이 높은 경력 및 업무 역량이, 면접 전형에서는 직무 능력과 관련한 경험 및 업무수행 시 상황별 대처방법 등이 평가된다.
정부와 공공기관은 취업준비생의 혼란을 최소화하고 준비 기간을 주기 위해 필기전형은 기관별로 전형 개편을 공고한 뒤 1년 뒤 도입하기로 했다.
NCS 채용 모델을 도입한 30개 기관은 내년 하반기에, 올해 도입하는 100개 기관은 2017년 상반기부터 NCS 기반 필기 전형을 본격적으로 시행한다.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구직자들이 높은 영어 점수, 다양한 자격증 등을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이고 있지만 정작 현장 업무와 연결되지 않는 경우가 많고 기업 현장에서는 신입직원이 현장 업무에 대한 준비가 돼 있지 않아 별도의 업무 훈련을 시킨 후 현장에 투입한다는 뼈아픈 지적이 아직도 제기된다"며 "NCS에 기반을 둔 유능한 인력 확보는 경쟁력을 높인 공공기관의 해외진출을 더욱 촉진할 수 있다"고 했다.
박상전 기자 mikypar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