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공영제 시행 후 시내버스에 지원되는 예산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는 낮은 수송분담률과 비교되며 '지원금 실효성'에 대한 의문마저 제기되고 있다.
대구시가 지난해 시내버스에 지원한 금액은 948억원으로 준공영제가 도입된 2006년 413억원에 비해 130%나 증가했다. 문제는 앞으로 더 많은 돈이 들어간다는 것이다. 시는 수입이 같고 인건비(인상률 3.5%) 등이 증가한다는 가정하에 재정지원금은 올해 1천억원을 넘어 내년 1천351억원, 2019년엔 1천702억원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준공영제 비용 가운데 재정지원금 비중이 유독 높다. 지난해 기준으로 대구는 재정지원 규모가 총 비용의 27.7%에 달했다. 이는 준공영제를 시행하고 있는 서울(16.8%)과 부산(20.5%), 인천(15.9%), 대전(23.4%), 광주(25.8%) 등 다른 지자체 가운데 가장 높은 비율이다. 대구 준공영제의 경우 지원금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지난해 대구시 총예산 중 시내버스 지원금 규모는 1.47%로, 이 역시 서울(1.04%)과 부산(1.37%), 인천(0.86%) 등 준공영제 지자체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의 버스 한 대당 들어가는 지원금은 연간 6천100만원으로, 서울(3천600만원)과 부산(5천300만원), 인천(3천800만원) 등 준공영제 지자체 6곳 중 가장 많다. 반면 수입금은 대당 연간 1억6천만원으로, 서울(1억8천만원)과 부산(2억1천만원), 인천(2억원) 등에 비해 적은 실정이다.
서광호 기자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