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중국인 관광상품을 취급하는 국내여행업체 300곳을 대상으로 '중국인 관광객의 유치실태와 개선과제'를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의 57.6%가 '유커 증가보다 경쟁심화가 더 크다'고 답했다. '유커 증가와 경쟁심화 속도가 거의 같다'는 응답도 41.2%였고, '유커 증가 속도가 더 빠르다'는 응답은 1.2%에 그쳤다.
이 같은 경쟁심화의 원인으로는 가장 많은 기업이 '시장 내 공격적 마케팅 전개'(45.4%)를 꼽았고, 이어 '신규 진입 업체 급증'(32.6%), '개별여행 증가에 따른 일감 축소'(15.6%) 등을 차례로 꼽았다.
경쟁심화는 수익성 악화로 이어졌다. 유커 유치에 따른 수익성에 대해 과반수의 기업이 '낮다'(51.5%)라고 답했고, '보통'은 40.8%, '높다'는 7.7%에 불과했다.
이러한 손실분은 주로 쇼핑과 옵션을 확대(54.8%)해서 보전했고 다른 여행상품에 비용을 전가(27.0%)하는 방법도 취했다. 미래 투자로 손해를 감수한다는 응답자는 11.9%에 불과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우리나라를 찾는 유커들의 만족도는 떨어지고 있다. 유커 1천만 시대 도래가 예상되고 있지만 낮아지는 대한민국 재방문율이 이를 입증하고 있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외래 관광객 실태조사'에 따르면 중국인 관광객의 한국에 대한 만족도가 조사대상 16개국 가운데 14위로 최하위 수준을 차지했고, 재방문율은 25.7%에 그쳤다. 이는 지리적 거리가 먼 미국인 관광객(32.6%)의 만족도보다 낮으며, 일본인 관광객(69.1%)에는 절반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유커가 갖는 불만사항으로는 '관광자원 부족'(41.6%)을 첫손에 꼽았고, 이어 '단조로운 일정과 자율성 부족'(22.1%), '중국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20.0%), '유행을 좇는 상품 난립 및 급격한 가격 인상'(11.4%) 등을 차례로 꼽았다.
앞으로 유커 유치를 위해 강화돼야 할 관광상품으로는 '소비'레저와 건강관리가 결합한 복합관광'(46.9%)을 가장 많이 꼽았고, '개별 맞춤형 자유여행'(25.3%), '산업관광, MICE, 인센티브 관광을 비롯한 기업연계 관광'(17.6%) 등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특히 관광산업 발전을 위해 집중 육성해야 할 여행 콘텐츠로는 과반수 기업이 '한류'문화체험'(49.4%)을 꼽았고, 이어 '자연'휴양'(15.5%), '쇼핑상품'(15.1%), '의료'뷰티'(11.8%)라고 답했다.
박상전 기자 mikypar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