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경남기업의 회생과정에 부당한 압력을 행사한 것으로 확인됐다.
감사원은 23일 '금융감독원에 대한 기관 운영 감사 결과'를 통해 금융감독원이 경남기업의 세 번째(2013년 10월) 워크아웃 과정에서 특혜를 주도록 채권단에 압력을 행사했다고 발표했다.
당시 금감원 기업금융개선국은 워크아웃 승인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실사를 맡은 회계법인이 성 전 회장의 지분을 2.3대 1의 비율로 무상감자하는 방안을 전제로 한 출자전환을 보고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묵살하고 조건 없이 출자전환해 주도록 채권단에 압력을 가했다.
특히 금감원은 당시 채권기관들이 구조조정 원칙에 위배된다고 이의를 제기하자 금융기관 담당자를 부르거나 전화를 걸어 "사회적으로 지탄의 대상이 될 수 있으니 대승적 차원에서 동의하라"고 노골적으로 외압을 행사한 것으로 밝혀졌다.
금감원의 경남기업 구명 외압 의혹이 사실로 밝혀지면서 충청포럼에서 성 전 회장과 만남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전직 금감원 임원들이 조직적으로 로비를 도운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다.
경남기업 구조조정 과정에 직접 개입한 김진수(충남 논산) 전 기업금융개선국장은 물론 최수현(충남 예산) 전 원장, 조영재(충북 충주) 전 은행담당 부원장이 입길에 오르고 있다. 감사원이 징계를 요청한 기업구조조정 팀장 역시 충청 출신이다. 유광준 기자 june@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