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주 전 삼성서울병원서 메르스 확진 환자와 접촉한 것으로 드러난 K씨가 전국적으로 '메르스 광풍'이 부는 과정에서 정상생활을 이어간 것과 관련, 방역당국은 도대체 뭘 했느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난달 27, 28일 메르스 확진 환자인 어머니를 병문안하러 삼성서울병원에 다녀온 것으로 확인된 대구 남구청 대명3동주민센터 공무원 K씨. 우선 K씨의 '방임적 행동'에 대한 의문이 들고 있다.
삼성서울병원이 메르스 최대 감염지로 확인됐는데도 이틀씩이나 이곳에서 머물렀던 K씨는 아무런 행동도 취하지 않았다. K씨가 감염이나 메르스라는 질병에 대해 무지한 직업군이나 학력'경력자도 아닌데 이런 상황으로 이어진 것에 대해 그의 소속 기관인 남구청'대구시청은 물론, 의료계 전체가 의아해하고 있는 것이다.
K씨는 민원인과의 접촉이 잦았던 데다 그동안 지인들과 술자리까지 참석한 것으로 확인됐다.
방역당국의 책임론도 부각 중이다. 대구시에 따르면 K씨는 삼성서울병원을 다녀온 지 3주가 지난 15일에야 남구보건소에 자진신고했고, 곧바로 대구의료원 음압병상에 격리됐다.
방역당국은 그동안 삼성서울병원 방문자 전원에 대한 전수조사에 나서는 등 철저한 역학조사에 나서왔다고 주장했지만 이틀이나 삼성서울병원에 머물렀던 K씨는 '주거부정자'도 아니고, 신분이 확실한 공무원이었는데도 방역 추적망에서 제외됐다. 이틀간이나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에서 메르스 확진 환자와 함께 머물렀지만 방역당국은 그런 사실조차 몰랐고 증상이 나온 15일에야 병원에 온 것이다.
이와 관련, 경북의사회 관계자는 "지난 12일 확진 판정을 받은 경북의 Y교사 사례와 같이 K씨도 방역망에서 놓친 사람"이라며, "24~27일 나흘 동안에만 삼성서울병원을 다녀간 사람만 800명이 넘는데 이를 100% 조사하는 것은 애초부터 불가능한 것이었다. 결국 놓친 사람이 엄청나게 많다는 사실은 메르스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할 수 있다는 점이다. 만일의 사태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구의 한 대학병원 교수는 "우리나라 시스템은 역학조사에 엄청나게 구멍이 많다. 역학조사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이나 정보가 너무 빈약해 지금 체제로는 사실상 의심스러운 부분들은 상당 부분 놓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정욱진 기자 pencho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